[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중소병원 경영난이 장기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특단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21일 대한병원협회에 따르면 전국 병원 98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입원환자 수 변화 추세를 파악한 결과, 1월과 2월은 각각 평균 –3.68%, -3.49% 감소했다. 그러나 3월은 -26.44%로 환자가 급감했다.
중소병원의 상황은 더 열악하다. 대한중소병원협회에 따르면 대구‧경북지역을 포함해 다수 중소병원이 최소 30%에서 최대 50% 수준의 수익률 감소를 겪고 있다. 특히 수익률이 좋은 몇 전문병원을 제외하고는 당장 다음 달 경영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게 중소병협 측 입장이다.
중소병협에 따르면 수도권에 위치한 한 중소병원은 소속 의사 3명을 포함한 의료진 10여명에게 사직을 권고했다. 서울의 한 중소병원도 직원 대부분을 무급휴가 처리하고 최소 인력으로 병원을 운영 중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중소병원 관계자 A씨는 "안 그래도 최근 몇 년 사이에 최저임금이 30% 이상 올라 경영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소병원들이 많았다"며 "이로 인해 간간히 버티던 병원들이 코로나19 사태로 가장 먼저 도산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평범한 병원들도 수익률 감소를 실감하고 자체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병원들이 경영난을 극복하기 위해 우선 신청해볼 수 있는 것은 요양급여비 선지급이다. 정부는 신청한 의료기관에 한해 전년 동월의 평균 요양급여비용 청구 금액의 90∼100%도 선지급한다. 하지만 요양급여비 선지급은 기존의 융자(메디칼론)가 있는 병원은 받을 수 없어 병협 차원으로 중복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실제로 선지급이 먼저 도입된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180여곳의 신청 병원중 선지급을 받은 병원이 13곳에 불과했다.
또한 요양급여비 선지급이 이뤄지더라도 경영난 해결에 도움이 안된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이송 서울성심병원장은 "요양급여비용이 선지급되더라도 해당 비용은 곧 상계돼야 하는 돈이다. 결국 중소병원에 인공호흡기만 간신히 달아놓는 정도의 미봉책에 그칠 뿐"이라고 평가했다.
이 원장은 "중소병원들은 ‘조삼모사’식 지원책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 같은 국가적 위기상황에는 건보공단이 나서야 한다"라며 "추경예산이야 특별 재난지역에 거의 쓰인다. 이번 기회에 공단이 병상규모와 중소병원별 손실규모 등을 조사해 매출 감소가 많은 순으로 특별지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의료기관 경영 안정화를 위한 융자자금 지원에 4000억원을 배정한 상태다. 의료기관 손실보상에 배정된 예산도 7000억원이다. 정부는 추가 예산 필요하다면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목적예비비를 추가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정영호 중소병원협회장(한림병원장)은 "중소병원들의 지출은 그대로인 상황에서 수익이 대폭 줄어들다보니 경영난이 상당하다"며 "배정된 손실보상 예산 7000억원 중 2000억~3000억원은 대구와 경북지역 의료기관으로 가고, 나머지 비용이 병원급 인건비 직접 지원으로 쓰일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정 회장 "정부와 병원계는 지원금을 통해 고용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다. 고용을 유지하는 병원에 한해 고용 인원에 따라 유동적으로 지원금이 전달되는 방식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