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명연 의원(자유한국당)은 10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건강보험재정으로 떠넘긴 차상위계층 의료비가 2009년 4991억에서 2017년 1조원이 넘어 2배 가량 증가했다고 밝혔다.
차상위계층의 의료비는지난 2008년부터 건강보험 재정으로 넘어갔으며, 29만7568명이 혜택을 받고 있다.
김 의원은 "국가가 책임져야 할 저소득계층의 의료비를 건강보험재정으로 이관한 것은 국가책임을 사실상 국민의 보험료로 전가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차상위계층의 의료비 건보재정 부담금 1조원은 전체 보험료수입금에 2.01%에 해당한다. 해마다 정부에서 건보재정으로 지원하는 국고지원금 6조8000억원(2018년 기준)의 약15%의 적지 않은 규모다.
김 의원은 "국회예산정책처는 현재 보험료 3.49% 인상을 지속한다고 가정했을 때 2027년 건보재정이 고갈된다고 분석했다. 차상위계층의 의료비 지원은 국가재정으로 환원해야 건보재정 고갈을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차상위계층의 수는 최고점을 찍었던 지난 2014년 약 33만명에서 2017년에는 약 29만명까지 떨어졌지만 의료비는 2000억원 이상이 늘었다. 김 의원은 "차상위계층의 수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도 의료비 지출은 오히려 늘었다. 이를 보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로 인한 의료비지출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의원은 “국가가 돌봐야 할 차상위계층의 의료비를 국민의 보험료로 떠넘긴다면 건보재정 고갈을 더욱 앞당길 수밖에 없다. 결국은 건강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것은 불 듯 뻔한 일”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차상위계층의 의료비지원을 국가재정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의료급여법’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구분 | 차상위 대상자수 |
보험료 수 입 (a) |
본인부담금 | 국고지원금 | 공단부담금 (b) |
|
비율 (b/a) |
||||||
2008 | 19,406 | 244,384 | 6 | 502 | 1,162 | 0.48% |
2009 | 259,406 | 259,352 | 363 | 1,161 | 4,991 | 1.92% |
2010 | 276,689 | 281,650 | 436 | 981 | 5,151 | 1.83% |
2011 | 307,527 | 323,995 | 567 | 1,156 | 6,445 | 1.99% |
2012 | 322,454 | 358,535 | 698 | 1,334 | 7,321 | 2.04% |
2013 | 330,916 | 386,117 | 886 | 1,878 | 8,036 | 2.08% |
2014 | 335,832 | 412,404 | 769 | 2,502 | 8,834 | 2.14% |
2015 | 304,884 | 440,476 | 867 | 2,646 | 9,660 | 2.19% |
2016 | 292,757 | 473,065 | 888 | 2,379 | 9,748 | 2.06% |
2017 | 279,568 | 500,099 | 906 | 2,455 | 10,073 | 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