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현장 간호사에 대한 보상책과 열악한 노동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조하숙 계명대동산병원 간호부장은 지난 12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코로나19 최전선 간호현장을 말한다’ 정책좌담회에서 “파견 간호사들에 비해 해당 병원 간호사들은 수당 책정이 안 돼 있어 보상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는 전문 인력의 투입이 중요하다. 전문 교육을 받은 간호사를 양성해 유사시 언제든지 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현장에서 간호사 인력 부족에 대한 어려움도 토로했다. 조 간호부장은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고 대구동산병원 병상이 145병상에서 465병상으로 단기간에 늘리면서 간호사 인력이 상당히 부족해 힘들었다”며 “파견 인력도 경력과 숙련도가 각기 달라 적정 배치도 어려웠다”고 말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안수경 간호사 역시 간호사의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안 간호사는 “격리병동은 간호사외 투입인력이 없기 때문에 평소 업무량의 몇배를 소화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2시간 근무 후 2시간 휴식의 경우 방호복 탈의시간과 병동 투입 물품준비 시간 등을 감안하면 1시간도 쉴까 말까 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방문간호사를 감염병 전문간호사로 전환함으로써 지역사회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동작구보건소 오희숙 방문간호사는 “방문간호사들은 감염병 전문 간호사로서의 자질과 기술을 충분히 가지고 있고 평상시 감염 차단을 위한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며 “정부는 방문간호사를 정규직화함으로써 재난 발생 시 감염병 전문간호사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동성심병원 고지연 간호사는 “간호사 인력부족 원인은 개선되지 않은 노동환경”이라며 “숙련 간호사들이 희망이 없는 현장을 떠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병원에서 간호사라는 이유만으로 기본 간호 외에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어 피로감을 호소하는 간호사들이 대부분”이라며 “전문 간호사들을 양성해서 업무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간호사들의 현장 증언 후 이어진 패널 토의에서는 △한민경 대한간호협회 전문위원 △임미림 충청남도 간호사회 회장 △정재수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정책실장 등이 참석해 간호사 노동환경 개선과 간호정책 개혁 방향을 토론했다.
보건노조 정재수 정책실장은 “간호사 처우개선 종합대책이 이미 시행됐는데 잘 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통해 강화·개선해야 한다”며 “복지부는 간호사 인력을 관리할 수 있는 전담 과를 포함해 보건의료인력을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국 차원의 조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한간호협회는 간호사 인력부족과 대안을 수급의 차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했다.
간호협회 한민경 전문위원은 “현재 간호사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수급이 불균형한 상황이다”라며 “간호사 수급을 위한 종합적 대책은 적정 의료 이용량과 연계해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홍승령 보건복지부 간호정책TF팀장은 간호사 인력 문제를 보다 큰 틀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 팀장은 “간호인력이 부족한 부분을 어떻게 확충할 것인가, 적정량과 양질의 간호인력 서비스를 어떻게 확충할 것인가는 근무환경 노동강도와 직결된다”며 “취약지역이나 지역사회에 필요한 간호인력 수급은 어떤 식으로 추가 공급될 수 있는지 함께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위기 시를 대비해 항상 가동할 수 있는 고정적 보건인력체계와 상시 활용할 수 있는 유동적 보건인력체계를 만드는데 같이 노력해야 한다”며 “현장과 이야기하면서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신영석 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간호현실을 어떻게 개선할 것이냐가 관건인 만큼 간호사들이 장기 근속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보상이 제대로 안 되고 근무여건이 다른 직종에 비해 상당히 열악한 점들이 간호사를 오래 근무할 수 없도록 몰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근본적 해결을 위해 근로환경 개선과 보수 정상화 등이 이뤄져야 한다”며 “입원료에서 간호관리료를 어떻게 정상화 할 것인지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구조적으로 풀어갈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