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코로나19 이후 원격모니터링 활용 가능성...경증 환자는 집에서, 중증 환자는 중환자실·병실에서

    서울대병원 김경환 교수 "환자 스스로 건강 상태 관리"...GE헬스케어 박정은 이사 "위급한 상황에 임상의사결정에 도움"

    기사입력시간 2020-10-23 09:06
    최종업데이트 2020-10-23 19:50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진료가 활성화되는 가운데, 경증 환자와 중증 환자 모두에게 원격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경증 환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등 집에서 평소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생기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치료한 생활치료센터에서 원격 모니터링이 활발하게 사용됐다. 중증 환자라면 응급실, 중환자실, 입원병동 등에서 실시간 환자 바이탈사인을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생기면 의료진이 즉각적으로 달려가 응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GE헬스케어 코리아는 22일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한 국제병원 및 의료기기산업 박람회(K-Hospital Fair 2020)에서 ‘뉴노멀시대의 원격모니터링의 현재와 지속가능한 비전’을 주제로 병원 경영 리더십 간담회를 진행했다. 

    서울대병원 생활치료센터 원격모니터링 활용..."환자 스스로 내 몸 관리"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김경환 교수 

    서울대병원은 대구경북 코로나19 확산 당시 문경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하면서 코로나19 경증 환자들의 원격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맥박, 혈압,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 여러 데이터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마련했다.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김경환 교수는 “디지털 임상연구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희귀난치성 말기 암환자들의 현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가 있다면 훨씬 더 안전하게 임상시험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문경 생활치료센터에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해보게 됐다”고 밝혔다.  

    환자들은 경증이지만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어 퇴원을 하지 못하고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했다. 의료진 감염 우려로 생활치료센터 환자들에게 비대면진료를 진행했다. 

    김 교수는 “입소 전에 엑스레이 영상은 클라우드에 직접 올리도록 돼있다”라며 “환자가 모바일 앱에 자신의 진료와 검사정보를 기록하면 자동으로 병원정보시스템에 전송되도록 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3년 전에 인터넷진흥원과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이 같이 만들었던 전자처방전이 있는데, 이를 보완해 전자처방전을 통해 환자들이 약을 처방받을 수도 있도록 했다”라며 “의료진 입장에서는 환자의 핵심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현황판(대시보드)을 두고 혈압, 산소포화도 등 이상이 있으면 빨간불이 들어오게 했다”고 말했다.  
    심장질환 환자 감시 플랫폼. 자료=김경환 교수  

    수술 환자 관리에도 원격 모니터링은 필요하다. 김 교수는 “병실에 입원한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있어도 의료진에 잘 전달되지 않을때가 많다.  퇴원한 다음에도 환자들은 불안해한다"라며 “의료진이 환자 상태를 파악한다면 환자 안전에 도움되고 환자들에게도 안정적인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술 발전도 계속되고 있다. 가령 심전도 측정 장비 휴이노는 건강보험 급여로 인정돼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면서 부정맥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했다. 배터리도 이전과 달리 12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인공지능과 결합한 각종 장비가 등장하고 있다.  

    다만 그는 원격모니터링으로 의사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 건강 증진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교수는 “앞으로 데이터 표준화, 제조사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동하는 의료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라며 “각종 IoT(사물인터넷)기기를 환자들에게 달고 모니터링을 한다는 것은 환자 스스로 내 몸을 내가 관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어 “의료진이 모든 것을 다해주고 환자는 시키는대로만 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환자의 3분의 1 이상은 자신이 무슨 약을 먹는지 모른다"라며 "이제는 그래서는 안 된다. 한두곳 병원만 나설 것이 아니라 여러 병원들이 환자들을 위해 다양한 원격 모니터링의 활용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환자실, 응급실, 입원병동 등 중증 환자 원격모니터링으로 환자 안전 강화 
     
    GE헬스케어 박정은 이사, 버추얼케어 플랫폼  

    GE헬스케어는 의료기관에서 입원 환자들의 실시간 통합 원격 모니터링 솔루션인 버츄얼 케어 플랫폼 뮤럴(MURAL)을 선보였다. 경증 환자가 아니라 중환자실, 응급실, 감염 병동, 입원 환자 등 주로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실제 연구결과에서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중환자실 사망률을 46% 낮추고 재원일수는 30%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GE헬스케어 라이프케어 솔루션 박정은 이사는 “뮤럴 솔루션을 통해 환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의사가 정확하고 빠른 임상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라며 "버추얼 플랫폼이 보조 역할을 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이사는 “각 부서에 맞는 특화된 모듈을 사용할 수 있고 어떤 환자를 우선적으로 모니터링할지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알람을 통해 환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경보를 조기에 알려준다”고 말했다.

    특히 이 솔루션은 환자 모니터만 연동되는 것이 아니라 300개가 넘는 여러가지 모니터링 기기를 모두 연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인공호흡기, 시린지 펌프, 인퓨전 펌프 등과 연결 가능하며 환자의 혈액검사 데이터도 연결된다. 

    회사 측은 버추얼 플랫폼에 인공지능을 결합한 에디슨 AI 워크벤치도 소개했다. 실시간으로 중환자실 등의 임상데이터를 모으고 학습시키고 검증하고 상용화하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메디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MDI)는 다양한 의료기기를 8개까지 한번에 연동할 수 있다. 수술실 등에 센서나 와이어가 많은데 복잡한 환경에서도 기기 하나로 환자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했다.

    박 이사는 “여러가지 기기를 통해 모은 데이터는 클라우드나 원내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연동할 수 있다. 의료진은 물리적 공간 제한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든 모바일로 환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라며 “의료기관 간 원격협진이나 웨어러블 기기, 원격 모니터링을 통한 홈케어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이사는 “이를 통해 프리 하스피탈(free hospital) 솔루션, 인 하스피탈(in hospital) 솔루션, 포스트 하스피탈(post hospital) 솔루션을 모두 제시하고 있다”라며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면 개개인 맞춤 의료를 제시할 수 있고 위급한 순간에 환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