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치디정션(HD Junction)은 정신건강의학과 전용 EMR 솔루션 '트루닥 멘탈(trudoc mental)'에 초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AI척도결과요약'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정신건강의학과 EMR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상용화된 생성형 AI 서비스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수요는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정신 및 행동장애로 의료기관을 찾은 실인원은 2017년 약 340만 명에서 2022년 465만 명으로 5년 만에 37% 증가했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증가와 함께 의료진의 업무 부담도 커지고 있다. 현재 정신건강의학과은 환자 한 명당 2~12개의 서로 다른 심리척도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의료진은 각 검사 결과를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해석해야 한다. 특히 재방문 환자의 경우 과거 검사 결과와의 비교 분석이 필수적이지만, 기존 시스템에서는 각 검사를 일일이 조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에이치디정션의 'AI척도결과요약' 서비스는 이러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이 서비스는 의료진이 당일 실시된 모든 심리척도검사 결과를 하나의 화면에서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기존 대비 검사 결과 조회 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질환 영역별로 환자의 심리척도검사 결과 변화를 표와 그래프로 시각화해 치료 효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복수의 검사 결과를 통합 분석해 환자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상태를 객관적 지표로 제시하는 것도 이 서비스의 핵심 기능이다.
에이치디정션은 클라우드 EMR ‘트루닥’을 2022년 정신건강의학과에 출시하여 현재 전국 200여 곳이 넘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트루닥EMR을 사용 중이다. 이번 AI 서비스는 기존 트루닥의 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기술을 초거대언어모델과 결합해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
에이치디정션 김동환 CTO는 "초거대언어모델에 관한 R&D 활동을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연구개발을 통해 의료 현장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서비스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AI척도결과요약 서비스는 당사의 의료 AI 생태계 구축의 첫 단계"라며 "2025년 하반기에는 의무기록 요약 서비스와 의료관련 고시 검색 및 해석 서비스를, 2026년 상반기에는 현장 대화 기반 의무기록 생성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에이치디정션은 이번 AI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법, 의료법 등 관련 규정을 엄격히 준수했다고 강조했다. 모든 환자 데이터는 암호화돼 처리되며 초거대언어모델에 사용되는 검사결과는 인공지능 학습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