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유행 종식을 위해 국내외 다수의 제약사들이 백신 개발에 한창인 가운데, 국가 방역체계를 제대로 세우기 위해서는 정부가 백신 개발에 적극 지원하는 한편 3000만명분을 비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의약품정책연구소 임재영 연구조정실장·고려대학교 박호정 교수·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 등은 지난 27일 의약품정책연구소 제1차 정책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27일 기준 567만 9298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35만 293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국내외 제약사들은 코로나19 치료제는 물론 유행 종식을 위해 백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실제 임상 2상에 착수해 올해 안 백신 출시를 앞둔 모더나는 물론, 존슨앤존슨, 이노비오, 화이자, 사노피·GSK, 노바백스 등이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국내 제약사 중에서는 질병관리본부의 우선협상자인 SK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 GC녹십자, 보령바이오파마, 스마젠, 지플러스생명과학, 제넥신 등이 백신을 연구 중이다.
의약품정책연구소 임재영 연구조정실장은 "우선 많은 제약사들이 동일 타겟의 백신 개발에 뛰어든 만큼 약물 개발에 있어 효과, 안전, 편이성 등을 고려해 비교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영국 맷 행콕 보건부 장관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옥스퍼드대학과 런던 임피리얼칼리지대학에 각각 약 304억원, 341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면서 "한국 정부도 백신 개발 범정부지원단을 마련해 임상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나, 낮은 시장성을 고려해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코로나의 긴 유행 기간을 고려해 국가가 나서 비축하고, 동시에 최적의 비축 규모를 추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려대학교 박호정 교수는 최적의 비축 규모에 대해 "적어도 감염가능 인구의 52%가 맞을 수 있는 백신을 국가가 확보해야 한다"면서 "백신의 편익과 비용 등을 고려할 경우 약 인구의 62% 분량이 적정하다"고 말했다.
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도 "협회차원에서 연구한 결과 3100명이 2번을 맞을 수 있는 분량을 비축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이중 의료현장에서 일하는 의사, 간호사, 집단생활을 하는 청소년 등부터 우선 접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엄 상무는 "많은 제약사들이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고, 정부가 연구개발과정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임상3상부터 생산까지는 정부 지원이 없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2차 유행이 올 수 있고 2차 유행시 치사율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적정 규모의 백신을 국가가 구매, 비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유행이 오지 않더라도 준전시상황과 같은 감염병 시대에 대비해 의약품 제조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련 제춤에 대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엄 상무는 "그간 우리나라에 의약품 제조업체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그 덕분에 코로나19 사태에서 항생제, 필수약 등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을 수 있었다"면서 "유럽 등은 이들 제품의 생산이 중단돼 우리나라에 수출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고려해 정부가 경제성 없는 감염병 관련 의약품 생산에 대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약품정책연구소 임재영 연구조정실장·고려대학교 박호정 교수·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 등은 지난 27일 의약품정책연구소 제1차 정책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27일 기준 567만 9298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35만 293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국내외 제약사들은 코로나19 치료제는 물론 유행 종식을 위해 백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실제 임상 2상에 착수해 올해 안 백신 출시를 앞둔 모더나는 물론, 존슨앤존슨, 이노비오, 화이자, 사노피·GSK, 노바백스 등이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국내 제약사 중에서는 질병관리본부의 우선협상자인 SK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 GC녹십자, 보령바이오파마, 스마젠, 지플러스생명과학, 제넥신 등이 백신을 연구 중이다.
의약품정책연구소 임재영 연구조정실장은 "우선 많은 제약사들이 동일 타겟의 백신 개발에 뛰어든 만큼 약물 개발에 있어 효과, 안전, 편이성 등을 고려해 비교우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영국 맷 행콕 보건부 장관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옥스퍼드대학과 런던 임피리얼칼리지대학에 각각 약 304억원, 341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면서 "한국 정부도 백신 개발 범정부지원단을 마련해 임상연구를 지원하고 있으나, 낮은 시장성을 고려해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코로나의 긴 유행 기간을 고려해 국가가 나서 비축하고, 동시에 최적의 비축 규모를 추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려대학교 박호정 교수는 최적의 비축 규모에 대해 "적어도 감염가능 인구의 52%가 맞을 수 있는 백신을 국가가 확보해야 한다"면서 "백신의 편익과 비용 등을 고려할 경우 약 인구의 62% 분량이 적정하다"고 말했다.
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도 "협회차원에서 연구한 결과 3100명이 2번을 맞을 수 있는 분량을 비축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이중 의료현장에서 일하는 의사, 간호사, 집단생활을 하는 청소년 등부터 우선 접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엄 상무는 "많은 제약사들이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고, 정부가 연구개발과정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임상3상부터 생산까지는 정부 지원이 없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2차 유행이 올 수 있고 2차 유행시 치사율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적정 규모의 백신을 국가가 구매, 비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유행이 오지 않더라도 준전시상황과 같은 감염병 시대에 대비해 의약품 제조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련 제춤에 대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엄 상무는 "그간 우리나라에 의약품 제조업체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그 덕분에 코로나19 사태에서 항생제, 필수약 등의 공급이 중단되지 않을 수 있었다"면서 "유럽 등은 이들 제품의 생산이 중단돼 우리나라에 수출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고려해 정부가 경제성 없는 감염병 관련 의약품 생산에 대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