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향후 대정부·국회 강경 투쟁을 위한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범대위) 구성을 공식화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의협은 지난 25일 임시대의원총회를 통해 현 집행부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구축해 투쟁의 선봉에 설 것을 결의했다"며 "이재명 정부는 출범 초기 '전문가와의 소통'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실제 보건의료정책 추진 과정은 앞뒤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최근 추진되는 여러 보건의료정책의 방향을 보면, 의료현장의 전문가 의견은 철저히 무시된 채 의료 전문성을 부정하고 특정 직역의 이익에만 매몰돼 있다"며 "전공의들은 의료현장에 돌아왔고, 의대생도 교육을 재개한지 수개월이 지났지만, 정작 전공의 처우 개선,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제도적 논의 등 정부는 의료시스템 재건을 위한 실질적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현 상황이 엄중함에 따라 의협은 범의료계 차원의 신속하고 일관된 공동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 동력을 확보해 대정부·대국회 투쟁 및 협상 역량을 극대화하고자 제39차 상임이사회 의결에 따라 범대위 구성하기로 했다"며 "향후 범대위를 중심으로 한 투쟁 구심점 강화, 전국의사대표자 궐기대회를 통한 의료계 총의 결집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직역과 단체 대표들과 거버넌스 회의 개최 등을 통해 폭넓게 의견을 수렴하는 등 범대위 출범을 위한 사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전 직역이 한목소리로 현실적인 해법을 논의하고 공동 대응하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본연의 사명을 잊지 않고, 합리적이고 책임 있는 논의를 통해 의료계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의협은 전문의 시험 조건부 응시 자격 부여에 대해서도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냈다.
김 대변인은 "대한의학회와 전문학회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수련 기간 단축이 아니라, 전문의 시험 응시 자격을 먼저 부여하되, 합격 후에도 반드시 남은 수련 교육을 완전히 이수해야만 최종 전문의 자격을 인정하는 ‘조건부’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우리 협회는 이런 결정의 불가피성에 공감하며, 수련 교육의 질이 결코 낮아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개선과 관련해서도 그는 "정부가 근거 없는 위탁검사관리료 폐지와 보상체계 개편을 강행할 경우, 의료계는 현장 의견을 무시한 일방적 정책에 대해 단호히 저항할 것이며, 일차의료와 필수의료 붕괴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정부가 회피할 수 없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