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신종코로나, 메르스보다 심각한 상황 'NO'…감염병 투자 늘릴 기회 ‘YES’”

    이종구 서울의대 교수, 사스 메르스 대비 감염률 대비 치사율 높지 않아

    중국 벌써 관련 논문 쏟아내..."국내 과학자들 메르스 때 논문 별로 없었다" 쓴소리도

    기사입력시간 2020-02-04 06:55
    최종업데이트 2020-02-04 06:55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정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초기 대응에 있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본다. 다만 메르스 때처럼 너무 큰 사회적 공포가 만연하고 있는 것 같다. 오히려 지나친 질병에 대한 공포로 인해 사회적 위축을 유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중국 본토에서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감염증 확진자가 1만7205명(3일0시 기준)을 넘어서며 팬데믹(전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유행하는 사태, pandemic,)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이종구 서울의대 교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지나친 우려보다는 국가 차원에서 향후 닥치게 될 더 위험한 감염병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이종구 교수는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유행 당시, 질병관리본부장을 맡았던 인물이다.
     

    이 교수는 3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 전망과 정부 및 시민의 대응방향 간담회'에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전파 상황을 봤을 때, 지나치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실제로 사스(SARS)의 경우, 29개국의로 전파돼 세계 감염자가 8096명에 육박했고 사망자는 774명을 기록해 치사율이 9.6%였다. 메르스(MERS) 때는 27개국 2494명이 감염됐고 사망자는 858명에 달했다. 치사율은 20.5% 수준이었다.
     
    반면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감염자 수는 높지만 감염체에 대한 강력한 치사율을 보이지 않는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현재(3일)까지 2019-nCoV 발생국은 19개국으로 감염자 수는 1만7387명이다. 앞선 사스나 메르스 때보다 감염자 수는 많지만 사망자 수는 362명으로 치사율은 2.08%에 그친다. 국내에서도 메르스 당시 186명이 감염됐고 38명이 사망했지만 이번 사태에는 15명의 확진자가 확인되긴 했지만 아직 사망자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의 데이터를 보면 이번 2019-nCoV가 확산력이 월등한 대신 인체에 중대한 해를 끼치는 중증 질환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사회적으로 지나친 공포심을 조장해 사회를 위축시키고 생활 자체에 피해를 주는 것은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2019-nCoV가 메르스나 에볼라 정도의 질환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특히 국내 의료수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환자 치료는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이유에 대해 이 교수는 치사율을 줄이고 감염성은 높이려는 코로나바이러스의 변형 특성을 언급했다. 즉, 바이러스 자체의 독성이 강해 치사율이 높아지면 감염 숙주가 쉽게 죽게 되고 더 많은 바이러스 전파가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 세포를 많이 전파시킬 수 있는 형태로 코로나바이러스가 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WHO의 대처가 미온적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비상사태 선포가 늦었다는 것은 인정했다. 이 교수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WHO 세계보건비상프로그램 산하 고위험감염병대응국에서 일한 경력도 있다.
     
    이 교수는 "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 각국의 교역과 이동 제한을 권고하지 않은 것은 이에 따른 세계적 파장이 너무 크기 때문"이라며 "WHO 사무총장에게 이 같은 권한이 있긴 하지만 파장 등을 고려해 권한 행사가 잘 이뤄지지 않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처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터졌을 때 WHO에서 현장 조사를 했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중국에서 그 조치가 생략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마 중국 정부차원에서 조사에 반대한 것 같다. 이 때문에 초기 대응이 늦어졌고 대책이 세워지지 않아 감염 피해가 커졌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미국의 경우, 에볼라 등 감염병 바이러스에 대해 천연물질에서 비슷한 분자구조를 찾아 후보군을 만들고 백신을 만들기 위해 시험을 진행 중"이라며 "과연 우리나라에서 이처럼 '맨땅에 헤딩하는 식'의 연구에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그러나 감염대책 강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가 자양분이다. 이제부터라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터지고 얼마 안돼서 벌써 논문을 꽤 내놨다. 일련의 감염병 사태를 겪으며 중국의 수준이 이정도로 올라온 것이 놀랍다"며 "메르스 때 우리 과학자들이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낸 적이 있나. 한국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각성해 의료계 등과 협력해 감염 대책 강국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