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생태계 마련"

    스트레스 관리 등 정신건강도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현...웰트는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개발 중

    기사입력시간 2022-05-27 06:16
    최종업데이트 2022-05-27 06:16

    사진 =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 대전환기 정신건강 R&D 포럼 발표 갈무리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OECD 국가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비롯해 정신장애 1년 유병률 8.5%, 평생 유병률 27.8% 등의 부정적인 정신건강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적극적으로 개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이 이어졌다.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웰트 강성지 대표 등은 26일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개최한 대전환기 정신건강 R&D 포럼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 각 회사에서 개발 중인 솔루션을 소개했다.

    지난해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27.8%)은 평생 적어도 한 번 이상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했으며, 정신장애 1년 유병률 8.5%에 달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코로나우울(코로나블루, 블랙)'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정신건강 문제가 일상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간 정신건강 연구개발(R&D)분야는 측정이 어려워 현상학적인 분야라는 이유로 개발에 한계가 있었으나,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과 디지털 기술 발전 등으로 정신건강이 근거 중심의 객관적 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의 연구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모두의 디지털 헬스케어 : 정신건강 접목'이라는 주제발표를 맡은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는 "정신건강 분야는 매우 중요하지만, 다른 질환에 비해 의료기관 접근성이 떨어지며 의료진이 현재의 수가체계 하에서 충분히 진료시간을 쓰기도 어렵다"면서 "환자가 폭증하는 현실 속에서 치료 악순환을 끊으려면 디지털 헬스케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이 같은 배경에서 이미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애플 등 많은 회사들이 헬스케어사업에 뛰어들고 있다"며 "아마존은 비대면진료 분야로 나아가고 있고, MS는 메타버스기반의 헬스케어를 시도하고 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이미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인 디지털치료제, 웰니스앱 등 디지털헬스케어를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현재 정신과 디지털치료제(DTx)가 개발돼 상용화가 이뤄지고 있음에도 이용률이 높지 않은데, 이는 환자들이 구매해야 하거나 직접 입력해야 하는  것들이 많아 중도 포기율이 높아서다. 이를 고려해 카카오는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특히 정신과DTx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자동으로 센싱을 하는 기술을 접목하고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황 대표는 "카카오톡이나 카카오뱅크, 카카오T 등이 성공한 이유는 심플한 서비스를 완성도 있게 제공했기 때문이다. 각각 돈을 내지 않는 문자, 도착시간과 경로를 미리 알려주는 콜택시, 업무시간에 맞추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는 은행 등 기존의 페인(Pain) 포인트를 접근했다"면서 "카카오헬스케어는 환자들의 접근성을 올리고, 병원들의 데이터 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한편, 스타트업들이 각자 전문적으로 개발한 디지털치료제를 많은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마련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환자들은 따로 기록하지 않아도 스마트폰이라는 센서를 이용해 생체신호, 수면시간 등 여러 라이프로그데이터를 확보해 자신의 상태를 쉽게 분석하고 맞춤형 멘탈케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환자 라이프로그데이터와 임상데이터를 활용하고 싶어하는 병원들에는 기술적인 파트너 역할을 해주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스타트업들에는 자신들의 전문성에 맞게 개발한 특정 분야 디지털치료제를 센싱으로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최적의 환자들이 접근하도록 돕는 역할까지 하겠다는 것이다.

    카카오헬스케어는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스트레스 관리 등 넓은 범위의 정신건강 예방·관리 분야의 디지털헬스케어를 마련하는 동시에 이 같은 생태계를 마련해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의 덕목을 살리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황 대표는 "앞서 올해 2월 중순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재택치료 환자가 급증할 것을 예측하고, 집에서도 정확한 케어를 할 수 있도록 서울대병원과 제휴해 병원 콘텐츠를 카톡에 올렸다. 또한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챗봇 서비스도 마련했는데, 이는 나온지 3일만에 수십만명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필수 서비스가 됐다"면서 "기술과 사람이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이 카카오의 존재가치를 헬스케어 버전으로 구현해내는 것이 목표다. 순기능의 플랫폼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국민건강 증진, 의료질 개선 등 ESG 프레임 서비스를 진행하는 동시에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 진출해 사업적인 성과를 달성하고, 궁극적으로는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성장을 주도하는 시장의 리더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사진 = 웰트 강성지 대표 대전환기 정신건강 R&D 포럼 발표 갈무리

    이날 웰트 강성지 대표는 '정신건강 기술의 산업동향 및 사례' 발표를 통해 최근 학계와 산업계에서 정신건강 연구개발(R&D)가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 소개하면서, 현재 개발 중인 불면증 디지털치료제에 대해 설명했다.

    강 대표는 "현재 개발 중인 필로우 앱은 불면증환자에게 표준치료와 맞춤치료를 동시에 제공하는 디지털치료제이며, 핸드폰에 담긴 다양한 데이터들을 분석, 활용해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병원 진단, 치료시 제공해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이는 데도 도움을 주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단 병원 차트 뿐 아니라 핸드폰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디지털 바이오마커가 되는 것"이라며 "금융, 모빌리티, SNS, 검색, 콘텐츠 등 여러 데이터들을 분석, 가공하면 그간 진단하지 못한 것을 진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추출한 데이터를 토대로 진단법과 비교하는 임상시험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의 환자 치료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기존에 발견하지 못한 위험군을 발견하거나 조기에 병을 찾아내는 것도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다양한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통해 초맞춤형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어 의사는 물론 환자들에게도 용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 대표는 "몇 가지 사용 동의, 데이터 접근만으로도 정신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다. 연속혈당측정기의 사용으로 실시간 혈당정보를 체크할 수 있고 이를 바탕을 저혈당 발생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한 것처럼, 정신과 역시 공황 발작 등의 가능성을 미리 예측해 복식호흡이나 약물 복용 등의 알람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카카오와 웰트가 제시하는 정신건강 디지털 지표를 모으는 과정은 결국 개인정보와 연결돼 있어 견해 차이가 존재하며, 데이터 활용에 대해 우려도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는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카카오 등에서 데이터를 가지는 것에 대해 우려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이런 이슈는 구글에도 존재하며, 이로 인해 메디칼AI가 계속 실패하고 있다"면서 "카카오도 개인정보 이슈를 고려해 데이터를 모으지 않고 활용하는 방향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데이터 자체는 환자의 디바이스 안에만 있도록 하면서, 일정 서비스를 위해서만 환자 동의 하에 개인보호 가이드라인에 따라 모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 또 플랫폼 회사는 세컨더리에서만 접근하는 방식을 검토 중"이라며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디지털헬스케어사업과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에서 해당 가이드라인을 잘 만들어야 하며, 해킹 등도 철저하게 예방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