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코로나19 무작위 전수검사에 대한 효과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명확한 역학 전략없이 수행되는 전수검사로 인해 양성률 자체도 매우 낮을 뿐더러, 과학적 근거도 미비해 지자체 예산 낭비가 이뤄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시는 2월 14일까지 '가구당 1인 검사 캠페인'을 진행했다. 코로나19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유증사자 혹은 무증상자 누구나 익명으로 무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혈연과 관계없이 주거와 생계를 함께 하는 가구 구성원 중 1명이 대표로 검사를 받아 가족과 지인 간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다.
같은 취지로 설 연휴를 전후로 부산, 경북 안동, 광주시도 최근 이름은 다양하지만 '1가구 1조사'를 모토로 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특히 포항은 1가구 1조사에 응하지 않을 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행정명령까지 내려 사실상 포항 시민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했다.
이 같이 지자체별로 코로나19 검사 열풍이 불고 있지만 오히려 전문가들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각 지자체를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부재하고 검사에 대한 과학적 근거도 없어 사실상 하나마나한 검사라는 것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전국 단위 전수검사가 아니라면 지역단위로 이뤄지는 소규모 검사로는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우선 서울시 사례를 살펴보면 5명의 검체를 혼합해 검사하는 풀링(Pooling)검사 방식이 아닌 1가구 1인 검사 방식을 채택했다. 그러나 해당 검사 방식이 잘못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백신학회 마상혁 부회장은 "가족 내 감염을 막기 위해 수행하는 검사라면 1인 검사가 아닌 전수검사 격인 풀링 검사를 해야 하는 것이 맞다"며 "1가구 1인 검사는 1개 회사 내 감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표로 회사 1인만 검사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즉 1가구 당 1명만 검사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실제로 앞서 포항의 사례를 보면 15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검사가 이뤄졌고 검사비만 23억 가까이 소요된 것으로 예상된다. 양성률도 크게 떨어진다. 전체 15만3000여명 중에 확진자는 30명으로 양성률은 0.02% 수준이다. 평균적인 코로나19 검사 양성률이 1~2%대인 것을 감안하면 검사 효능이 크게 부족하다. 서울시는 아직 전체 소요 비용과 양성률을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았지만 약 0.2% 양성률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자체별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무작위 전수검사 자체가 비과학적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마치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중국발 항공편을 막지 않은 채, 내국인들을 대상으로 전수검사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방역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마 부회장은 "현재 지자체별로 진행되는 캠페인이 거의 전수조사 개념인데 이들의 이동을 통제하지 않는 한 지역 내 산발적 검사는 의미가 없다"며 "인구 이동량이 많기 때문에 지역내 무작위 전수검사에서 음성이 나왔더라도 이동이 제한돼 있지 않으면 몇일내에 양성이 되는 것은 시간 문제다. 전문가와 상의가 이뤄진 사업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서울시 관계자는 "가구당 1인 검사 캠페인은 중앙방역당국 코로나19 방역조치 범위내에서 시장 권한대행 주재로 개최되는 코로나 관련 현안검토회의에서 논의돼 결정된 사안이다. 서울시 거주 인구와 이동량, 확진 비율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결정했다"며 "사업 소요 비용은 추후 임시 선별진료소 운영 결과를 통해 종합적으로 산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 관계자는 "가족간 풀링 검사 시는 가족간 시간과 장소를 맞춰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시민불편 뿐만 아니라 효율성이 오히려 떨어진다"며 "(이동통제와 관련해) 시민들의 이동을 통제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최근 가족과 지인간 모임을 통해서 감염이 발생하는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 가구 1인 선제검사 받기라는 캠페인을 통해서 좀 더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고 검사에 참여해 달라는 취지로 캠페인을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커지자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최근 브리핑에서 전수검사 효율성을 높여야한다는 지적에 동의했다.
정 본부장은 "지역 단위 무작위 검사가 시행된 사례를 분석해 효과적 검사 가이드라인을 만들 예정"이라며 "제한된 검체 채취 역량과 검사 역량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전략과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