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분은 비응급이니 중소병원으로 가셔야 합니다."
머리에 타박상을 입고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게 의사가 이런 말을 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십중팔구는 욕설과 함께 주먹이 날아올 것이다.
보건복지부가 29일 의료관련감염대책협의회 논의 결과를 발표하자 앞으로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 해소 대책"의 핵심은 비응급 환자가 대형병원(권역응급센터,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 오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구급대가 비응급 환자를 대형병원 응급실로 이송하는 것을 제한하기로 했다.
또 환자 스스로 대형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경우 진입단계에서 중증도를 분류해 비응급 환자인 경우 중소병원 응급실로 회송해야 한다.
복지부는 이를 평가해 상급종합병원 인증 등에 반영할 방침이다.
환자가 중소병원 응급실을 이용하면 본인부담을 완화하되, 이에 불응하면 본인부담을 높일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누가 보더라도 응급실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증, 비응급 환자에 한해 본인부담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본인부담이 늘어나는 세부 질환이나 기준은 시민사회단체 등과 계속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누가 보더라도 응급실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증, 비응급 환자에 해당하지만 당사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새벽 2시에 아이를 업고 뛰어 온 엄마에게 ‘당신 아이는 응급이 아니니까 작은 병원으로 가세요!’ 라고 응급실 전문의가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설치된 부산대병원의 조석주(응급의학과) 교수의 말이다.
조석주 교수는 "병원은 돈을 못 벌고, 불친절하다는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의사는 멱살을 잡힐 수도 있다"면서 "병원에게 책임을 미루지 말고, 복지부가 의사를 공무원으로 채용해 응급실로 파견하기 바란다”고 꼬집었다.
조 교수는 "엉터리 대책을 내놓은 정책 실무자 실명을 밝히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아주대병원 김대중(내과)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앞으로 대형병원 응급실 앞에 경찰을 배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송형곤 응급의료센터장은 "대형병원에 온 경증환자에게 중소병원으로 가라고 하면 응급실 의사들은 매일 두드려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는 "가장 좋은 방법은 대형병원에 온 비응급 환자의 응급의료관리료 본인부담금을 10만원 이상으로 왕창 올리는 것"이라면서 "그렇게 하면 입소문이 퍼져 3~4개월 지나면 비응급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복지부가 수가를 인상하면 국민들로부터 욕을 먹으니까 응급실 의사들에게 떠넘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환자가 병원에 오기 전 단계에서부터 환자분류, 즉 트리아지(triage)를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남의사회 박양동 회장은 "응급환자 신고가 접수되는 단계에서 응급인지, 비응급인지를 트리아지를 해야 한다"면서 "상담을 하는 1339를 부활해 119와 분리해야 한다"고 단언했다.
머리에 타박상을 입고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게 의사가 이런 말을 했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십중팔구는 욕설과 함께 주먹이 날아올 것이다.
보건복지부가 29일 의료관련감염대책협의회 논의 결과를 발표하자 앞으로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 해소 대책"의 핵심은 비응급 환자가 대형병원(권역응급센터,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 오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구급대가 비응급 환자를 대형병원 응급실로 이송하는 것을 제한하기로 했다.
또 환자 스스로 대형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경우 진입단계에서 중증도를 분류해 비응급 환자인 경우 중소병원 응급실로 회송해야 한다.
복지부는 이를 평가해 상급종합병원 인증 등에 반영할 방침이다.
환자가 중소병원 응급실을 이용하면 본인부담을 완화하되, 이에 불응하면 본인부담을 높일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누가 보더라도 응급실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증, 비응급 환자에 한해 본인부담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본인부담이 늘어나는 세부 질환이나 기준은 시민사회단체 등과 계속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누가 보더라도 응급실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증, 비응급 환자에 해당하지만 당사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데 있다.
"새벽 2시에 아이를 업고 뛰어 온 엄마에게 ‘당신 아이는 응급이 아니니까 작은 병원으로 가세요!’ 라고 응급실 전문의가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설치된 부산대병원의 조석주(응급의학과) 교수의 말이다.
조석주 교수는 "병원은 돈을 못 벌고, 불친절하다는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의사는 멱살을 잡힐 수도 있다"면서 "병원에게 책임을 미루지 말고, 복지부가 의사를 공무원으로 채용해 응급실로 파견하기 바란다”고 꼬집었다.
조 교수는 "엉터리 대책을 내놓은 정책 실무자 실명을 밝히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아주대병원 김대중(내과)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앞으로 대형병원 응급실 앞에 경찰을 배치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송형곤 응급의료센터장은 "대형병원에 온 경증환자에게 중소병원으로 가라고 하면 응급실 의사들은 매일 두드려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는 "가장 좋은 방법은 대형병원에 온 비응급 환자의 응급의료관리료 본인부담금을 10만원 이상으로 왕창 올리는 것"이라면서 "그렇게 하면 입소문이 퍼져 3~4개월 지나면 비응급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복지부가 수가를 인상하면 국민들로부터 욕을 먹으니까 응급실 의사들에게 떠넘긴 것"이라고 비판했다.
환자가 병원에 오기 전 단계에서부터 환자분류, 즉 트리아지(triage)를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경남의사회 박양동 회장은 "응급환자 신고가 접수되는 단계에서 응급인지, 비응급인지를 트리아지를 해야 한다"면서 "상담을 하는 1339를 부활해 119와 분리해야 한다"고 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