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한 해열제 복용 여부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엇갈리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10일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하루 신규 접종자는 6만662명으로 12일간 누적 접종자가 총 44만6900명을 돌파했다. 그러나 접종자가 늘면서 이상반응을 호소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이상반응 신고는 신규로 935건이 늘어 누적 5786건이 신고됐다.
이중 5717건은 두통과 발열 등 경미한 사례로 발열 이상반응 환자가 늘자 발열 시 해열제를 복용해도 되는지가 의료계 관심사로 떠올랐다. 문제는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뉘고 있다는 점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8일 "접종 이후 발열 등 불편한 증세가 있다면 타이레놀 등 해열제를 복용해도 된다"고 말했다. 반면 대한의사협회는 코로나19백신 접종 후 대응방안을 발표 "발열이 38.5도 미만이고 시작된 지 24시간 이내이면 해열제를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항체 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며 "열이 38.5도 이상이면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을 권장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마상혁 대한백신학회 부회장은 "일반적으로 해열진통제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예방적으로 사용하지만 않는다면 아스트아미노펜이나 이부프로펜 둘 다 문제가 될 가능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의협 권고 중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어떤 해열제는 되고 어떤 해열제는 안 된다는 식의 얘기는 근거가 없는 주장"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논란과 관련해 메디게이트뉴스는 해열제와 백신의 효과를 다룬 연구 논문들을 검토해봤다.
현재 전문가들 사이에서 해열제와 백신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다고 보는 핵심 근거는 임마누엘 발터 박사가 2017년 발표한 '소아에서 인플루엔자 비활성화 백신 투여 후 해열제가 면역 반응 및 발열에 미치는 영향' 연구다.
해당 연구는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 해열제를 사용해 124명의 소아에게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한 뒤 해열제를 사용해 면역반응을 조사했다. 연구결과, 해열제 투여군과 비투여군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발열을 포함한 증상의 빈도도 유사했다.
연구팀은 “해열제를 투여받은 소아에게서 면역 반응의 현저한 둔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며 “다만 백신의 면역 형성과 관련된 해열제의 효과를 확실하게 입증하기 위해선 더 큰 샘플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해열제 사용의 위험성을 주장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폴란드 포즈난 의과대학 야첵 위소키(JacekWysocki) 교수의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유아 예방 접종 중 발열 예방을 위한 해열제 사용은 위험할 수 있다.
연구팀은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 영아에게 시간대 별로 나눠서 투여하고 비투여군과 비교했다.
연구결과, 백신 접종과 동시에 파라세타몰을 투여했을 때 간섭 효과가 나타났다. 이후 6~8시간 이후 투여에선 일부 효과가 관찰됐고 시간이 더 지난 뒤엔 통계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연구팀은 "예방적 해열제는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 효과는 해열제 투여 시간에 따라 다르다"며 "파라세타몰의 영아 투여는 페렴 구균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구팀은 "이부프로펜 투여는 백일해와 파상풍 항원에 대한 백신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며 "유아 백신 예방 접종 중 발열 예방을 위해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은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학계에서도 백신 효과와 해열제의 인과성을 명확하게 밝히진 못했지만 해열제 투여시기가 중요하다는 점은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미국 듀크의과대학 에젤 딘 살레 교수의 '예방 접종에 대한 면역 반응에 대한 해열제의 효과' 연구는 지금까지 발표된 관련 연구논문 1395편 중 임상 시험을 대표하는 20편을 선정해 추가 통계 분석을 시행했다.
연구에 따르면 2009년 이전 발표 논문들은 해열제가 백신의 면역 반응을 제한시킨다고 보지 않았지만 2009년 이후 면역 감소를 제안한 연구도 더러 있었다. 다만 연구팀은 현재로서 해열제 투여가 백신 면역 반응을 둔화시키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답은 없다고 봤다.
정확한 사실은 해열제 투여시기 등이 백신 반응과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결정 인자라는 점이다.
연구팀은 "해열제와 백신 효과가 부정적으로 유의미했던 모든 사례는 해열제를 예방 목적으로 백신 접종에 앞서 투여했을 때 발생했다"며 "반면 백신 접종 이후 치료 목적으로 해열제를 투여했을 땐 관련성이 분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백신학회 마상혁 부회장은 "예방적으로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하나 이는 다른 백신 연구 결과를 인용한 것"이라며 "정확한 데이터를 위해 코로나19 백신에 한해 해열제 등과의 반응을 조속히 연구해 발표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가천대 길병원 엄중식 감염내과 교수는 "해열제 등 소염 진통제가 백신 효과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와 관련해 아직 명확한 근거는 없다. 선행 연구를 보면 일부 영향을 줄수 있다는 정도로 파악된다"며 "현재 나타나는 부작용을 보면 타이레놀 정도로 해결되는 증상으로 보인다. 증상이 오래가지 않아 굳이 소염 진통제를 투여해야 하는지 의문"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