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가 아니었다. 메르스 사태는 그것을 깨닫게 했다. 민심과 경제가 흔들렸다.
우리의 의료체계와 응급실 체계를 바꿔야 하지만, 구체적 합의는 아직 없다.
상중하의 대책이 있다.
의료체계를 근본적으로 고치는 것이 상책이다.
어느 개인의원 의사는 메르스를 의심해 냈지만, 많은 더 큰 병원들은 그렇지 못했다. 진단은 의심에서 시작되는데, ‘정성과 시간’을 들인 탐문은 보상받지 못한다.
크고 작은 의료기관의 서로 다른 역할을 인정하고, 경증의 환자가 작은 병원에 가게 하는 것이 해법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환자들은 '무한대적' 병원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비싼 검사와 기계의 보유 여부가 선택기준이다. 가겠다는 환자를 막으면, '더 친절한' 다른 의사가 소견서를 써 줄 것이다.
병실이 가장 많은 병원들의 응급실이 가장 과밀하고, 비워본들 더 몰려든다. 2010년 대구에서 장중첩 4세 여아가 대형병원들을 전전하여 사망했었다. 당시에, 응급실이 가장 과밀한 10개 병원 중에서 4개가 대구에 있었다.
의료인들은 '닥터 쇼핑'을 비난한다.
하지만, 고쳐주지 못하는 의사를 떠나, 다른 의사도 만나보겠다는 것은 환자의 입장이다.
그런데, 선진국의 의료진들은 다른 의사에게 가겠다는 환자의 전원을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이를 '세컨드 오피니언'이라고 부른다.
한편, 많은 선진국에서는, 작은 병원의 의사나 보험회사의 사전 승낙이 없으면, 큰 병원에 가지 못하거나, 보험혜택을 받지 못한다.
자의적인 병원선택이 파산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차진료 의사와 환자가 서로 묶여 있다. 최소한, '거의' 무한대의 선택권은 환자에게 없다. 큰 병원에 간 환자는, 다시 단골의사에게 돌아간다.
그런데, 큰 병원에 간 우리나라 환자는 돌아오지 않는다.
의사와 환자 간에 돈이 오가지 않는 영국의 직업 신뢰도 순위에서, 의사는 항상 1위를 차지한다.
하지만, 우리의 환자들은 '양심없는 의사'를 신고하라는 엽서를 수시로 받는다. 이런 총체적 개념들이 바뀌려면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다.
근본대책은 아니지만, 중책이 있다. 응급체계 쪽을 손보는 것이다.
많은 선진국의 응급실 혼잡은 우리보다 더 심각하다. 지난 20년간 미국 병실 총량의 40%가 줄었고, 많은 유럽국가들도 비슷하다.
병실의 절대량이 부족하니, 작은 응급실 마저도 과밀하다. 하지만, 우리는 작은 병원이 비어있다. 분산을 통해 해결가능하다. 응급실에 가는 환자는 구급차에 타든지 스스로 간다.
상담전화와 구급대가 병원선정에 개입하도록 만들면 된다.
여러 선진국들, 캐나다, 영국, 일본 등이 행하는 방법이다. 그 전제조건이 2가지 있다. 첫째, 모든 나라에서 의료상담 전화와 구급차 출동요청 전화는 분리되어 있다. 둘째, 코디네이션을 위한, 지역단위의 리더쉽이 존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하책이 있다.
무지, 졸속과 부처 이기주의를 안고 그대로 가는 것이다.
사스 시절의 1339는 평상시 업무를 지역에서 행하면 되었었다.
이번에는, 시민들에게 행동지침을 알릴 구체적 수단이 부실했다. 중앙에 급조한 메르스 상담전화, 지역의 보건소와 119는 기능과 유지가 모두 문제가 있었다.
국토안보부를 가진 미국도 전염병은 질병통제센터가 주역이건만, 국가 안전처를 주장하는 이들도 있었다.
옛날 이야기에서는 항상 하책이 선택되었다. 불행한 예측은 항상 들어맞았다. 국가는 개조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