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에 보내는 정책제언...의료개혁, 나침반이 될 네 가지 원칙
서영석 의원, 한의사 '엑스레이 허가법' 발의
"감사원 감사 한창인데, 2024 보건복지백서 '의대 정원 확대 추진' 주요 성과로 명시"
이수진 의원, 필수의료 공백 방지를 위한 의료법 개정안 대표발의
김윤 의원 "복지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 실질 해결률 2%...무대책 콜센터"
[단독] 수평위, 2026년도 레지던트 1년차 정원 30% 감축
성분명 처방은 정답이 아니다...의약품 수급 불안정, 구조적 실패의 해부
의료계 "의료AI 중요도 발맞춰 의료AI특별법·의료데이터 관리 수가 신설 필요"
지역 의료의 성공 조건 자세히 살펴본 프랑스 ‘다학제 건강센터’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발표,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치료율은 개선
일본판 공공의대...의무복무 중 사직 의사가 "헌법·법령 위반" 소송 제기
HPV 병원체 보유자 5년 만에 32.8% 급증
최근 5년 약화사고 보고 160.3% 증가, 처방 단계 사고가 71.5%
내년 의과 공보의 0명? 공보의 제도 존속 '위기'
비대면진료, 환자 ‘약 배송’·의사 ‘책임소재’·약사 ‘성분명 처방’ 주문
성분명처방 반대 1인시위 나선 김택우 회장 "또 다른 의료대란 도화선 된다"
[단독] 복귀 전공의 내년 2월 '전문의 시험' 응시 열리나…복지부, 의견 수렴 나서
의료대란 여파 여전...전공의 충원율 세종 16.7%·전남 22.2%, 소아과 13.4%·병리과 17.9%
이재명 대통령 "응급실 뺑뺑이 많이 개선...공공·지역·필수의료 강화 필요"
의사들, 중증·응급질환 순환당직제 '잘못됐다' 답변, 긍정 대비 3배…"당직비 보상 있어야"
한의협 "의사 문신 교육도 한의사가"…의협 "일고의 가치 없어"
고말공(고추 말리는 공항)과 ‘지역의사제’…프랑스 사례로 살펴본 다학제 건강센터(MSP)
한지아 "성분명 처방 의무화법, 국민 건강 도박판에 올려놓는 것"
與 의원들 "공공의대 인천에…수도권이지만 의료 질 높지 않아"
[단독] 한의협 윤성찬 회장, 이해충돌 논란에 국감 출석하나 …대통령 주치의-협회장 병행 이해충돌?
서울의사들, 성분명처방 반대 위해 모여…"원내조제·선택분업으로 대응"
5년간 외국인 환자 진료에 건보료 6조 투입…부정수급 외국인이 내국인 2배
'문신사법' 국회 본회의 통과…비의료인 문신 시술 가능해져
무너지는 대한민국 '심장'…흉부외과 전공의 36.5% 급감
정부 강력 드라이브 '지역의사제' 추진되면 오히려 의사 증원 규모 감소 가능성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