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허용 요구하는 약사사회....아나필락시스 사망 위험에 대응은 할 수 있나
보건의료 분야 최우선 국정과제 '지필공'...프랑스의 취약지 선정과 지역의료를 보라
보건복지부에 보내는 정책제언...의료개혁, 나침반이 될 네 가지 원칙
성분명 처방은 정답이 아니다...의약품 수급 불안정, 구조적 실패의 해부
지역 의료의 성공 조건 자세히 살펴본 프랑스 ‘다학제 건강센터’
고말공(고추 말리는 공항)과 ‘지역의사제’…프랑스 사례로 살펴본 다학제 건강센터(MSP)
“To Err is Human” 지나치게 처벌 중심이라는 대통령의 발언
분만장과 모든 의료현장은 범죄현장이 아니다
진료비 지불제도의 허상 ‘궁즉변’ 아닌 ‘궁즉망’ 걱정해야
형벌 중심 사고가 가져온 ‘의료 붕괴’... 젊은 의사 고부담 고위험 회피와 필수과목 이탈
총체적 붕괴로 암울한 의료계...무너진 신뢰, 다시 세우는 의료
“전공의는 배우기 위해 존재한다” 전공의 교육의 전문직업성
대체조제 간소화법은 '심평원 심부름법'
의사 수 논쟁, '얼마나'가 아닌 '어디에, 누가'가 먼저다
최종 의대 정원은 정부 의지대로? 기대 반 우려 반, 의사인력 수급추계위
고부담 고위험 전문과목 기피 현상...환자 안전에 역행하는 의료 형사 범죄화
우리나라는 무과실 불가항력 의료사고까지 의사에 전가...머나먼 프랑스 무과실 배상기구 'ONIAM'
의료비 급증이 병상·의원 증가 탓이라는 정부, 의사 수 제한해야 하는 것 아닌가
세계 최고 수준의 외래진료 실적 대한민국의 ‘의료 취약지’
수가인상률이 물가상승률의 3.6배라는 한 서울대 교수의 허위주장
수가인상률이 3.6배? 물가상승률과 매년 1~2%대의 수가협상 진찰료 인상률을 비교해야 정확한 연구다
공적 전자처방전 도입, 그 이면엔 성분명 처방과 총액계약제까지 숨어있다
국토부, 자동차보험 '8주 입원' 제한 고시 입법예고...의과-한방 분리 가입이 답이다
의사 형사처벌에 대한 사회적 불감증, 우리나라 의사 형사처벌 확률 선진국의 10~60배
동상이몽, 독일식 개원 총량제
의료 대란 해법의 실마리, '사과 강요' 아닌 '소통'에 달려 있다
국회도 지적한 해외의대, 의협은 5년째 방치 중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의료사고의 현실과 이에 대한 대책은
법으로 규정된 프랑스 의과대학 임상실습 학생의 진료권
"개원 허가제, 전공의 수련기간 연장과 착취 심화시키고 의사 면허제 자체를 무력화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