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료기관이 미국, 중국을 포함한 세계 18개국에 141건 진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일 '2015년 의료기관 해외진출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2015년 해외에 진출한 전체 의료기관은 18개국 141건으로 2010년 58건 이후 5년간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출한 국가를 보면 중국이 52건(37%)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이 33건(23%), 카자흐스탄이 9건(6%), UAE, 몽골이 8건(6%)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 베트남이 7건, 인도네시아가 6건, 말레이시아가 3건이었으며, 싱가포르, 일본, 태국, 필리핀, 홍콩이 각각 2건, 대만과 마카오, 인도, 캄보디아, 캐나다가 각각 1건이었다.
중국의 경우 한류 영향으로 미용‧성형 수요가 지속되고 있고, 중국 정부가 의료특구 조성, 해외투자 장려정책 등 시장개방 정책을 지속하기 때문에 진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한방 분야에 주로 진출하고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미국에서 한의사 면허취득이 용이하기 때문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카자흐스탄은 알마티를 중심으로 진출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중증환자 중심으로 외국인 환자도 급증하고 있어 외국인 환자 유치와 연계해 진출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인다.
UAE는 서울대병원(왕립병원 위탁운영)과 서울성모병원(검진센터) 진출로 대형병원 진출의 첫 물꼬를 텄다는 의미가 있다.
해외 진출 형태를 보면 프랜차이즈가 34건(24%)으로 가장 많았고, 단독투자 29건(21%), 합자‧합작과 라이센싱 각 24건(17%) 이었다.
프랜차이즈는 상대적으로 진출 실패에 대한 위험성이 적어 가장 선호했다.
단독투자는 해외직접투자로 지분 100%를 보유하는 것을 의미하고, 합자/합작투자는 자본 및 투자이익 공유, 합작법인 설립을, 라이센싱은 무형자산 예들 들면 의료기술 이전 등의 대가로 로열티를 받는 것을, 프랜차이징은 가맹계약을 체결하는 형태다.
진료과목별로는 피부‧성형이 54건(38%), 한방이 22건(16%), 치과가 18건(13%) 순이었다.
한류 열풍이 강한 중국과 동남아에 피부‧성형 분야의 프랜차이즈 진출이 많았으며, 미국에는 한방 분야 진출이 두드러졌다.
진출규모는 의원급이 83건으로 전체의 59%를 차지했으며, 이어 전문센터가 17건(12%), 병원이 7건(5%)으로 집계됐다.
향후 해외진출 준비건수는 2014년 조사 당시 27건이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총 16개국 51건으로 크게 늘었다.
진출국가는 전체 51건 중 중국 진출을 준비하는 프로젝트가 30건(59%)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베트남 4건, 몽골 3건 순이었다.
이와 함께 이미 진출한 18개국에 포함되지 않은 러시아, 미얀마, 카타르 등에도 진출 준비중인 의료기관이 있어 진출국이 다변화하는 양상이다.
진출형태는 합자‧합작 형태가 11건(22%), 위탁경영(9건, 18%)과 프랜차이즈(7건, 14%)가 뒤를 이었다.
현재 서울대병원, 보바스병원, 아주대의료원이 위탁경영 형식으로 중국 진출 준비중이다.
진료과목별로는 종합진료가 19건(3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피부‧성형 11건(22%), 치과 8건(6%) 이었다.
진출규모는 건강검진 등 특화된 전문센터로 진출 준비중인 기관이 19건(37%)으로 다수를 차지했고, 그간 진출이 부진했던 종합병원 수준의 진출 준비도 5건(10%)이나 됐다.
의료기관 해외진출 시 발생하는 애로사항에 대한 의견수렴 결과, 응답자들은 현지 정보 부족, 진출국의 법‧제도 규제, 국내법상 규제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을 들었다.
필요한 정부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 간 협력을 통한 진출국의 의료규제 해소, 세제 혜택, 해당국 진출 정보 제공 등을 원하고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말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해외진출 성공사례 공유 시스템을 강화하고, 금융‧세제상 각종 지원 등을 6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일 '2015년 의료기관 해외진출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2015년 해외에 진출한 전체 의료기관은 18개국 141건으로 2010년 58건 이후 5년간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출한 국가를 보면 중국이 52건(37%)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이 33건(23%), 카자흐스탄이 9건(6%), UAE, 몽골이 8건(6%)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 베트남이 7건, 인도네시아가 6건, 말레이시아가 3건이었으며, 싱가포르, 일본, 태국, 필리핀, 홍콩이 각각 2건, 대만과 마카오, 인도, 캄보디아, 캐나다가 각각 1건이었다.
중국의 경우 한류 영향으로 미용‧성형 수요가 지속되고 있고, 중국 정부가 의료특구 조성, 해외투자 장려정책 등 시장개방 정책을 지속하기 때문에 진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한방 분야에 주로 진출하고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미국에서 한의사 면허취득이 용이하기 때문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카자흐스탄은 알마티를 중심으로 진출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중증환자 중심으로 외국인 환자도 급증하고 있어 외국인 환자 유치와 연계해 진출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인다.
UAE는 서울대병원(왕립병원 위탁운영)과 서울성모병원(검진센터) 진출로 대형병원 진출의 첫 물꼬를 텄다는 의미가 있다.
해외 진출 형태를 보면 프랜차이즈가 34건(24%)으로 가장 많았고, 단독투자 29건(21%), 합자‧합작과 라이센싱 각 24건(17%) 이었다.
프랜차이즈는 상대적으로 진출 실패에 대한 위험성이 적어 가장 선호했다.
단독투자는 해외직접투자로 지분 100%를 보유하는 것을 의미하고, 합자/합작투자는 자본 및 투자이익 공유, 합작법인 설립을, 라이센싱은 무형자산 예들 들면 의료기술 이전 등의 대가로 로열티를 받는 것을, 프랜차이징은 가맹계약을 체결하는 형태다.
진료과목별로는 피부‧성형이 54건(38%), 한방이 22건(16%), 치과가 18건(13%) 순이었다.
한류 열풍이 강한 중국과 동남아에 피부‧성형 분야의 프랜차이즈 진출이 많았으며, 미국에는 한방 분야 진출이 두드러졌다.
진출규모는 의원급이 83건으로 전체의 59%를 차지했으며, 이어 전문센터가 17건(12%), 병원이 7건(5%)으로 집계됐다.
향후 해외진출 준비건수는 2014년 조사 당시 27건이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총 16개국 51건으로 크게 늘었다.
진출국가는 전체 51건 중 중국 진출을 준비하는 프로젝트가 30건(59%)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베트남 4건, 몽골 3건 순이었다.
이와 함께 이미 진출한 18개국에 포함되지 않은 러시아, 미얀마, 카타르 등에도 진출 준비중인 의료기관이 있어 진출국이 다변화하는 양상이다.
진출형태는 합자‧합작 형태가 11건(22%), 위탁경영(9건, 18%)과 프랜차이즈(7건, 14%)가 뒤를 이었다.
현재 서울대병원, 보바스병원, 아주대의료원이 위탁경영 형식으로 중국 진출 준비중이다.
진료과목별로는 종합진료가 19건(3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피부‧성형 11건(22%), 치과 8건(6%) 이었다.
진출규모는 건강검진 등 특화된 전문센터로 진출 준비중인 기관이 19건(37%)으로 다수를 차지했고, 그간 진출이 부진했던 종합병원 수준의 진출 준비도 5건(10%)이나 됐다.
의료기관 해외진출 시 발생하는 애로사항에 대한 의견수렴 결과, 응답자들은 현지 정보 부족, 진출국의 법‧제도 규제, 국내법상 규제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을 들었다.
필요한 정부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 간 협력을 통한 진출국의 의료규제 해소, 세제 혜택, 해당국 진출 정보 제공 등을 원하고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말 '의료 해외진출 및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해외진출 성공사례 공유 시스템을 강화하고, 금융‧세제상 각종 지원 등을 6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