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그간 지속적인 사회적 논의를 거쳐 보건의료 분야 공공기관의 의료데이터를 정책연구 등 공공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이하 플랫폼)을 17일 개통했다.
플랫폼은 공공기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마련된 것이며 앞으로 국민건강 향상과 의료 질 제고를 위한 연구에 활용된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제안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신청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확인 ▲공공기관 간 데이터 연계·교류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기능 등으로 보건의료분야 연구자 및 일반 국민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우리 국민의 건강상태를 가장 포괄적이고 상세하게 반영하고 있어 보건의료 분야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 원천으로 손꼽혀왔다. 특히 여러 기관의 자료를 상호 연계할 경우 그 가치가 크게 높아지기 때문에 정책담당자 및 연구자의 수요가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난 1년여 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추진해 왔다.
2018년 7월 학계·연구계·의료계·시민단체 등과 함께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 보건복지부 차관)를 구성했고 심층 토론을 거쳐 지난 해 11월 시범사업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이후 정책심의위원회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한 공공 연구목적, 데이터 연계·제공방식 등을 논의해 왔고 그간 논의 사항을 충분히 반영해 17일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통하게 됐다.
이번에 개통된 플랫폼에서는 국민 누구나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주제 등을 제안할 수 있고 보건의료분야 연구자들은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신청할 수 있다.
먼저 연구자들은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데이터 편람(카탈로그)'을 내려받아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범위, 형태, 종류 등을 확인해 연구 설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질의답변 등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연구과제의 공공성 심의 및 기술검토를 거쳐 연구자에게 데이터가 제공된다.
민감한 보건의료 정보를 다루는 만큼 공공기관 간 자료 전송 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전용회선(행정망)을 활용, 암호화해 자료를 주고받는다.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대전)에 전산장비를 위치, 주요 국가 전산망으로서 철저히 보호하는 한편 제3자신뢰방식(TTP) 및 안전한 일방암호화함수 등을 활용해 연계한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에 개인정보를 알아볼 수 없도록 기술적 조치(비식별조치)를 실시하고 연구자는 이를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폐쇄된 연구공간을 통해서만 열람·분석하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1차 플랫폼 개통을 시작으로, 공공기관 간 플랫폼 기능보강(2019년 4분기∼2020년 3분기)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관련 공공기관과 협력해 개방대상 데이터 및 개방 범위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오후 2시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개최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개통식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윤종필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김승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의 개요, 플랫폼 기능 등을 보고받고 연구자를 위한 폐쇄 분석환경을 둘러보며 사업에 대한 기대를 전했다.
박능후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이번에 개통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의료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첫 결과물"이라며 "앞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국민건강 증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플랫폼은 공공기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마련된 것이며 앞으로 국민건강 향상과 의료 질 제고를 위한 연구에 활용된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제안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신청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확인 ▲공공기관 간 데이터 연계·교류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기능 등으로 보건의료분야 연구자 및 일반 국민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우리 국민의 건강상태를 가장 포괄적이고 상세하게 반영하고 있어 보건의료 분야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 원천으로 손꼽혀왔다. 특히 여러 기관의 자료를 상호 연계할 경우 그 가치가 크게 높아지기 때문에 정책담당자 및 연구자의 수요가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난 1년여 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추진해 왔다.
2018년 7월 학계·연구계·의료계·시민단체 등과 함께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 보건복지부 차관)를 구성했고 심층 토론을 거쳐 지난 해 11월 시범사업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이후 정책심의위원회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한 공공 연구목적, 데이터 연계·제공방식 등을 논의해 왔고 그간 논의 사항을 충분히 반영해 17일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통하게 됐다.
이번에 개통된 플랫폼에서는 국민 누구나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주제 등을 제안할 수 있고 보건의료분야 연구자들은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신청할 수 있다.
먼저 연구자들은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데이터 편람(카탈로그)'을 내려받아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범위, 형태, 종류 등을 확인해 연구 설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질의답변 등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연구과제의 공공성 심의 및 기술검토를 거쳐 연구자에게 데이터가 제공된다.
민감한 보건의료 정보를 다루는 만큼 공공기관 간 자료 전송 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전용회선(행정망)을 활용, 암호화해 자료를 주고받는다.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대전)에 전산장비를 위치, 주요 국가 전산망으로서 철저히 보호하는 한편 제3자신뢰방식(TTP) 및 안전한 일방암호화함수 등을 활용해 연계한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에 개인정보를 알아볼 수 없도록 기술적 조치(비식별조치)를 실시하고 연구자는 이를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폐쇄된 연구공간을 통해서만 열람·분석하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1차 플랫폼 개통을 시작으로, 공공기관 간 플랫폼 기능보강(2019년 4분기∼2020년 3분기)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관련 공공기관과 협력해 개방대상 데이터 및 개방 범위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오후 2시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개최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개통식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윤종필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김승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의 개요, 플랫폼 기능 등을 보고받고 연구자를 위한 폐쇄 분석환경을 둘러보며 사업에 대한 기대를 전했다.
박능후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이번에 개통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의료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첫 결과물"이라며 "앞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국민건강 증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