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SK바이오팜이 1분기 매출 1444억원, 영업이익 257억원, 당기순이익 196억원을 달성했다고 9일 공시했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7%, 149%, 102%씩 증가한 수치다.
SK바이오팜은 "계절적 비수기와 일시적 외부 요인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전 분기 대비 매출 감소에 대해서는 "일회성 마일스톤9중국 NDA 제출 관련 수익) 소멸과 계절적 비수기, 외부 유통 채널의 구조조정 등 일시적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적 개선에는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미국 매출 성장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엑스코프리의 2025년 1분기 미국 매출은 전 분기 대비 3%,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1333억원을 기록했다. 처방 수는 3월 이후 빠르게 성장했으며, 1분기 월평균 신규 환자 처방 수(NBRx)는 1600건을 넘었다.
SK바이오팜은 실적 개선에 힘입어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과 연령 확장을 통한 시장 확대를 목표한다. 올해 안에 부분 발작을 넘어 전신 발작(PGTC)으로 적응증을 확장하는 임상 3상 탑라인 결과를 확보하고, 소아 환자의 복용을 쉽게하는 현탁액 제형을 개발해 NDA 제출할 예정이다.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과 관련해서는 미국 내 추가 위탁생산처(CMO)에 대한 FDA 승인 절차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또한 재고를 약 6개월 분량에서 추가적으로 늘리는 등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따른 대응 체계도 마련했다.
SK바이오팜은 "엑스코프리는 미국 직판 체계를 기반으로 정교하고 유기적인 환자 중심 접점 확대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며 "공격적인 마케팅과 적응증 확대를 통해 미국 시장 내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2의 세노바메이트'를 목표로 한 세컨드 프로덕트 도입을 연내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해당 제품은 미국 내 기 구축된 세일즈 네트워크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선정한다.
SK바이오팜은 "신속한 시장 진입과 조기 수익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와 함께 방사성의약품(RPT)과 표적단백질분해(TPD) 등 차세대 치료 기술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부연했다.
RPT 분야에서는 고형암 치료 후보물질 'SKL35501'을 중심으로 개발 중이다. 최근 미국 테라파워에 이어 벨기에 판테라와 공급 계약을 체결해 핵심 원료 확보 기반을 강화했으며, SKL35501의 안정적인 개발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