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뚜렷한 이유 없이 몸이 피곤하거나 식욕이 떨어지는 증상을 겪는 현대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 피로누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눈의 흰자위나 피부가 노래지고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까지 겹친다면 속히 간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와 함께 소변색이 주황빛이나 갈색으로 진해지거나 잇몸 출혈이나 코피, 멍이 쉽게 생긴다면 이 또한 간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다.
간질환은 갑자기 찾아오는 불청객으로, 그 원인에 따라 예후와 경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평소 간질환이 의심된다면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간질환에 대한 정보를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김경아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간질환자의 치료제 복용법과 주의점은?
A : 간질환은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진다. 만성B형간염의 경우 장기간의 약물 복용이 필요한데, 간혹 자의로 중단해 수개월 또는 1-2년 후 황달 증상으로 오는 사람도 있다.
지치지 않고 꾸준히 약을 잘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매일 빼먹지 않고 복용하는 것이 약제 내성을 발생을 줄일 수 있다.
C형간염 치료제는 종류에 따라 3~6개월 복용하는데, 이 역시 매일 복용법대로 복용해야 약제 내성을 줄이고 치료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약제에 따라 같이 복용이 불가한 약물들이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반드시 상의가 필요하다.
간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은?
A형과 B형간염의 경우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중요한 것은 건강한 식생활, 운동 등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절주하는 것이며, 효과나 부작용이 검증되지 않은 약물이나 민간요법은 피해야 한다.
또한 만성 B형·C형간염, 간경변 환자들은 적어도 6개월에 한번은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간염 보균자와 일상생활을 계속 같이 유지해도 문제가 없는지?
B형 간염 보유자와 일상생활(예; 식사, 악수, 포옹 등)을 유지해도 전염되지 않는다.
간질환은 유전?
간질환은 유전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지방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지방간 환자 중 지방간염이 있는 경우 간경변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일단 간경변으로 진행하면 다른 원인에 의한 간경변과 동일하게 간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지방간은 알콜성 지방간과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나뉘는데, 알콜성 지방간의 경우는 절주를 해야하며, 비알콜성 지방간의 경우 식이요법(저탄수화물과 저지방식)과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당뇨나 고지혈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흔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도 필요하다.
A형간염에 한번 걸려 면역이 생기더라도 B형간염에 걸릴 수 있을까?
A형 간염과 B형 간염은 다른 질환으로, A형 간염에 대한 면역이 있더라도 B형·C형간염에 걸릴 수 있다.
B형간염은 모체에서 출산할 때 감염된다고 하는데, 아이가 감염되지 않을 방법은?
출산할 때 아이에게 면역글로불린과 B형간염에 대한 예방 접종을 하면 수직 감염을 80~90%가량 막을 수 있다.
모체의 혈중 바이러스 농도가 높을수록 전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임신 26-28주에 바이러스 농도 검사를 해 농도가 높은 경우 예방적 항바이러스 치료를 권유한다. 이렇게 하면 수직 감염을 100% 가까이 예방할 수 있다.
B형간염 보균자 판정을 받았는데 전염성도 없고 위험수준도 낮아 판정 후 병원 검진을 따로 받지 않은지 5년이 흘렀다. 이후 다시 전염성이 생길 수 있는지?
간기능 검사가 정상이고 혈액 내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거나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흔히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 또는 B형간염 보균자라 칭한다.
B형 간염보균자를 흔히 질병이 없는 상태로 오인해서 병원에 다니지 않는 분들이 있는데, 이 경우에도 활동성 간염으로 전환될 수 있고 간세포암 발생 위험이 정상인보다 높기 때문에 적어도 6개월에 한번 정기 검진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