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백신산업의 국내 매출, 수출, 고용, 투자 현황 등을 포함한 '2021년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신용조사평가 전문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 등이 진행한 것으로, 백신 산업에 특화해 최초로 설문 조사를 시행했다.
이번 실태조사를 위해 바이오·IT·화학·기계 등 각계 전문가들이 여러 차례 논의를 통해 백신산업 분류체계를 마련했으며, 전수조사 방식으로 159개 업체를 최종 선정해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백신산업은 ▲백신 완제품 ▲백신 원부자재 ▲백신 장비 ▲백신 관련 서비스(위탁생산, 위탁개발, 위탁임상, 보관수송 등) 등 4개 분야로 분류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 국내 백신기업 159개사는 백신 완제품 29.6%, 백신 원부자재 32.1%, 백신 장비 15.1%, 백신 관련 서비스 35.8%의 비율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백신기업은 4개의 사업 영역에서 2개 이상 중복 수행했다.
세부적으로 백신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은 본사 기준 서울 53개사(33.3%), 경기 51개사(32.1%) 지역에 소재지가 집중됐다.
기업 규모는 대기업 3.1%(5개사), 중견기업 26.4%(42개사), 중소기업 70.4%(112개사)로 전체 제조업과 비교 시 산업 ‘허리’ 역할을 담당하는 중견기업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설립 자본 기준으로는 내자 회사(순수 내국자본)가 90%(143개)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외자회사(외국 자본) 5%(8개), 합작 회사(외자 + 내국자본) 5%(8개) 등이 있다.
백신산업 부문 국내 매출액은 총 3조4178억원을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백신 완제품 2조6865억원, 백신 원부자재 865억원, 백신 장비 694억원, 백신 관련 서비스 6361억원이었다.
수출액은 총 6287억원으로, 백신 완제품 5637억원, 백신 원부자재 1410억원, 백신 장비 430억원, 백신 관련 서비스 763억원이었다.
백신산업 부문 투자비를 보면, 연구개발비(R&D)가 2140억원, 시설투자비 1174억원 등 총 3314억원이었다.
현재 진행중이거나 향후 계획된 백신・바이오 기업들의 13조 원 이상 설비 투자 계획(바이오헬스산업 혁신방안)을 감안할 때 연도별 설비 투자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백신기업 전체 투자비는 2조2049억원이며 이중 백신 부분은 15.0%를 차지한다.
고용 규모를 보면 백신기업 종사자 4만4312명 중 백신관련 부서에 종사하는 인력은 1만758명 이상이었다. 직무별로는 생산직 4715명(43.8%)이 가장 많았고, 영업·관리 등 기타직 3271명(30.4%), 연구직 2772명(25.8%)이었다.
한편 백신 기업들이 연구개발 현장에서 체감하는 애로사항은 ▲자금 부족(47.2%, 75개사), ▲전문인력 부족(25.2%, 40개사), ▲연구장비 등 인프라 부족(22.0%, 35개사) 순으로 많았다.
사업화 과정에서는 ▲자금 부족(40.3%, 64개사), ▲시장동향 등 관련 정보 부족(24.5%, 39개사), ▲전문인력 부족(20.8%, 33개사) 순이었고, 규제와 관련해서는 ▲식약처 인・허가(62.3%, 99개사), ▲임상(37.1%, 59개사), ▲국가출하승인(28.3%, 45개사), ▲질병청 국가예방접종 입찰제도(25.2%, 40개사) 순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기존 산업통상자원부가 매년 시행하는 바이오산업 실태조사와의 연계성, 정합성, 모집단 설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통계청 협의를 거쳐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를 내년부터 국가통계로 승인을 받기 위한 검토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합동 백신산업 혁신포럼을 공동 개최해 백신기업들이 궁금해하는 주요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최근 국내외 업계 동향과 통계 자료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세부 보고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정부는 "백신 산업이 향후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탄탄한 중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업 규모를 키우고(Scale-Up) 성장 주기에 맞춘 범부처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며, 백신 개발과 생산, 수출까지 단절 없는 부처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백신 기업들이 산업 현장에서 체감하는 각종 인・허가 규제 등은 관계부처 합동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 기업애로사항해소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단계적・순차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해나갈 계획"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