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가 라니티딘 사태와 관련해 환자들이 약 이름을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행정적 불필요한 비용 감소를 위해 국제일반명제도(International Nonproprietary Name, INN)를 도입해야 한다는 유튜브 영상을 발표했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한약사회는 27일 유튜브 채널에 '라니티딘을 복용하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와 '라니티딘?잔탁? 라니티딘 위장약 왜이렇게 많을까?'라는 제목의 동영상 2편을 게시했다.
약사회는 첫 번째 영상에서 먹는 약에 라니티딘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과 라니티딘 포함이 확인됐을 때 재처방과 교환·환불 절차 등을 소개하고, 두 번째 영상에서는 발사르탄, 라니티딘과 같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 상품명과 성분명 차이에 따른 혼란을 막는데 국제일반명제도 도입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영상 제작에 참여한 오인석 학술이사·최진혜 기획이사는 영상을 통해 "현재 라니티딘 단일제, 복합제 포함해 상품명이 269개다. 환자들이 당연히 혼란스러울수밖에 없다"면서 "미국이나 유럽 등은 '회사이름+성분명'으로 표기하도록 해 누가봐도 라니티딘이라고 정해서 쓰고 있고, 이걸 국제일반명제도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제일반명제도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사항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이 제도를 가지고 주로 성분명인 국제일반명으로 상품이름을 짓도록 하고 있다. 그러면 어려모로혼란이 줄 것이다"면서 "국제일반명제도를 도입하면 내가 라니티딘을 먹고 있는지 약 봉투만 봐도 확인할 수 있다. 발사르탄 사태부터 라니티딘 사태를 겪으면서 국민들이 약 이름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국제일반명 제도로 개선되면 훨씬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특정 의약품 문제가 생겼을 때 환자 입장에서는 걱정을 하게 되는데 이름이 다 다르면 바로 알아차리기 어렵고, 약 이름으로 인해 모두가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나 행정적으로나 비용이 많이 드는 시스템이다"면서 "국제일반명제도로 개선되면 우리나라도 불필요한 비용 감소가 가능하고, 환자들의 걱정과 부담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