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기동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1454만명 중 35.6%(518만명)이 비만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 25이상일 때 분류한다. 조사결과 BMI 25~29.9의 비만은 444만명이었고 BMI 30이상의 고도비만은 74만명이었다.
비만 인구 비율은 매년 늘었다. 2014년 전체 검진자 중 33.4%가 비만이었다가 2015년 34.8%, 지난해 35.6%였다. 이와 반대로 정상 체중에 속하는 사람의 비중은 줄었다. 2014년 전체 검진인원의 38.5%가 정상 체중으로 나타났지만 2015년에는 37.5%, 2016년에는 36.8%였다.
비만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60대로 전체 인구의 39%가 비만이었다. 연령별 비만도를 보면 19세 이하는 24.6%, 20대 24.8%, 30대 37.2%, 40대 35.8%, 50대 36.2%, 60대 39%, 70대 이상 36.1%등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19세 미만 중 비만 인구는 28.5%에 그쳤다. 하지만 20대에 들어서면서 8.2% 늘어난 36.7%에 달했다. 30대에는 47.2%로 급증하다 40대 이후에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남성 비만율은 40대 46.2%, 50대 42.2%, 60대 39.3%, 70대 이상 32.1%였다. 기 의원은 "30대부터 50대 중년 남성의 고민은 살이다"이라며 "과도한 업무와 음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비만은 피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여성의 비만율은 19세 이하에서는 19.1%였고 20대에 들어서는 12.9%로 줄었다. 이후 30대에는 17.1%, 40대 23.5%, 50대 30%, 60대 38.7%, 70대 이상 39.4% 등 나이가 들수록 비만율이 높았다. 이는 임신과 출산, 육아에 따른 부담과 생활 환경 변화가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여성은 10~30대의 저체중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체 여성인구 중 저체중 비율은 5.4%로 나타났다. 20대 여성은 100명 중 16명(15.8%)이 저체중이었고 19세 이하는 12.7%, 30대는 10.8%였다. 기 의원은 “비만이 질병의 근원인 것처럼 저체중도 가볍게 다룰 수 없다”라며 “외모지상주의와 마른 몸을 지향하는 사회 트렌드가 젊은 여성의 저체중을 일으켜 우려된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비만은 고혈압, 흡연, 고혈당, 육체적 비활동 등과 함께 5대 사망 위험 요인이다.
기 의원은 “선진 의료 시스템을 구축한 국가는 햄버거와 나트륨을 규제하거나 공공 체육시설을 만들어 국민이 일상적으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라며 “우리나라도 비만 예방과 적절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 의원은 “국민이 건강하면 의료비가 줄어들고 그만큼 국가 부담도 줄어든다"라며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정부와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