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꿀잠 프로젝트, 꿀잠 자야 건강하다
① 수면시간 5시간 이하, 적정수면 대비 복부비만 1.96배·대사증후군 1.69배
②잠못드는 노인들...노인 절반은 불면증, 고령일수록 수면장애 증가
③잠 못잔 노동자, 술 취한 사람과 비슷...18시간 못자면 혈중 알코올 농도 0.05%
④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청소년들 4명 중 3명은 수면부족 상태
⑤교대근무 간호사들 수면장애 심각...3일 연속 야간근무하면 불면증 6.5배
⑥넷플릭스 보느라 늦게 자면 다음날 아침 긍정적 감정 감소
⑦노인 불면증 만성화...증상 평균 10년, 장기 수면제 복용 73.5%
⑧청소년 등교시간 한 시간만 늦춰도 학습 능률 향상·교통 사고 예방
⑨멜라토닌 보충제 31개 함량 확인해보니…-83%부터 +478% 널뛰기
⑩하루만 제대로 못자도 다음날 아침 불안할 확률 높아져
⑪수면과 사망률...REM수면 5% 줄면 중·노년층 사망률 13% 증가
⑫ 전문약으로 분류되는 멜라토닌 '서카딘' 제네릭 출시 잇따라
⑬플라스틱 환경호르몬 노출, 폐경기 여성 수면 장애에 영향
⑭유년기 가벼운 수면 문제도 심리사회적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⑮지난해 수면장애로 의료기관 방문한 환자 64만명...전년대비 13%↑
① 수면시간 5시간 이하, 적정수면 대비 복부비만 1.96배·대사증후군 1.69배
②잠못드는 노인들...노인 절반은 불면증, 고령일수록 수면장애 증가
③잠 못잔 노동자, 술 취한 사람과 비슷...18시간 못자면 혈중 알코올 농도 0.05%
④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청소년들 4명 중 3명은 수면부족 상태
⑤교대근무 간호사들 수면장애 심각...3일 연속 야간근무하면 불면증 6.5배
⑥넷플릭스 보느라 늦게 자면 다음날 아침 긍정적 감정 감소
⑦노인 불면증 만성화...증상 평균 10년, 장기 수면제 복용 73.5%
⑧청소년 등교시간 한 시간만 늦춰도 학습 능률 향상·교통 사고 예방
⑨멜라토닌 보충제 31개 함량 확인해보니…-83%부터 +478% 널뛰기
⑩하루만 제대로 못자도 다음날 아침 불안할 확률 높아져
⑪수면과 사망률...REM수면 5% 줄면 중·노년층 사망률 13% 증가
⑫ 전문약으로 분류되는 멜라토닌 '서카딘' 제네릭 출시 잇따라
⑬플라스틱 환경호르몬 노출, 폐경기 여성 수면 장애에 영향
⑭유년기 가벼운 수면 문제도 심리사회적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⑮지난해 수면장애로 의료기관 방문한 환자 64만명...전년대비 13%↑
[메디게이트뉴스 윤영채 기자] 지난 2019년 ‘수면장애’ 질환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가 전년 대비 13% 증가한 64만명으로 집계됐다. 수면장애 연령대별 진료 인원은 50대에서 가장 많았으며 대체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두드러졌다.
또한, 수면다원검사가 2018년 건강보험 급여로 전환된 후 의원에서 검사를 받는 환자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면장애 진료인원 2018 대비 약 13% 증가
13일 메디게이트뉴스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파악한 ‘2019년 수면장애 진료인원(2020년 7월 지급분까지 반영·미청구분 있을 수 있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면장애 진료환자는 64만180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56만8067명에서 약 13%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 살펴봤을 때 최근 5년 간 남성, 여성 환자 모두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더 많았다.
지난해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50대가 13만286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남성이 5만2728명, 여성이 8만141명을 기록했다. 50대까지는 나이가 많을수록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60대부터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수면다원검사 급여 적용 이후 의원 방문 환자 증가
2018년 하반기부터 수면다원검사 급여 적용 이후 의원을 찾는 환자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건보공단이 지난해 건강보험 진료자료를 활용해 건강보험 적용대상자가 수면장애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보험급여적용 후 9개월이 지난 시점인 2019년 3월 수면장애 환자 중 수면다원검사를 받은 비율은 종합병원이 7.2%로 가장 높았다.
다만 그 비율이 보험급여적용 직후보다 0.4%p 증가에 그친 반면, 의원은 3.3%로 2.0%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수면장애 진료 환자도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가장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공단의 2019년 수면장애 진료인원 요양기관종별 통계에 따르면 의원을 찾은 사람들이 49만8165명(전체의 77.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종합병원 10만5909명, 병원 5만3481명, 보건기관 4430명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