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자살을 정신질환과 같은 단일 요인으로만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경제적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실제로 국내 전체 자살사망자의 약 4분의 1일 우울증 등 정신질환 진단이나 증상 없이 사회 경제적 이유로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26일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요한 교수팀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에서 제공한 경찰청 수사기록을 활용해 2013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자살사망자 약 10만 명의 원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경찰청 수사기록 자살사망 전수조사 자료 총 10만2593건을 분석하여 자살 원인을 ▲정신건강 문제, ▲신체건강 문제, ▲정신건강 및 사회경제적 문제, ▲사회경제적 중심 문제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전체 자살사망자의 22.5%는 정신질환 진단이나 증상이 없이 경제적·직업적 문제 등 사회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자살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살 시도 경험이나 사망 전에 자살 의도를 표출한 비율이 낮았고, 사망 직전 음주 비율이나 가스 중독 사망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이러한 집단은 기존의 고위험군 기준으로는 포착되기 어려운 특성을 보였다.
최근 전체 자살사망자 중 이러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원인으로 하는 자살군이 차지하는 비중이 30%에 육박하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팀은 "자살을 우울증 등 정신질환의 문제로만 보는 시각을 넘어, 고용·복지·주거 등 사회경제적 차원의 사회 전반적 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논문 'Profiles of suicide reaso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uicide-related behaviour in South Korea'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