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데이터 공유·제조 혁신 등 '디지털바이오'로 2030 바이오 선도국 진입"

    과기부, 올해 4000억원 투입…디지털바이오R&D 중장기 지속 지원

    기사입력시간 2023-04-19 07:10
    최종업데이트 2023-04-19 07:10

    사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성환 서기관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민관의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바이오산업이 급격히 성장했지만, 다른 국가들 역시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여전히 선진국을 따라가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30년 안에 바이오 선도국 진입을 위한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성환 서기관은 18일 2023년도 제1회 제약바이오사업개발 전략포럼에서 '정부의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을 주제로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R&D 투자 중 바이오 분야가 지난 10년간 연평균 6%씩 성장하면서 17%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금액으로 환산하면 4조1000억원이다.

    민간투자 역시 증가 중이며, 2019년부터 민간투자가 정부투자 규모를 추월해 약 4조8000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 성과 역시 증가하고 있다. SCIE 논문은 2011년 7684건에서 2020년 1만1465건으로, 미국 특허등록 성과는 같은 기간 동안 157건에서 388건으로 증가했다. 

    바이오 분야 최고 선진국인 미국과의 기술 수준 격차로 2014년 4.3년, 2018년 3.5년에서 2020년 3.1년으로 축소됐고, 산업 규모는 10년간 2배 이상인 17조원 규모에 이르는 상황이다.

    강 서기관은 "그럼에도 여전히 미국 등 바이오 선도국을 추격하는 입장이며, 유럽연합(EU)은 물론 일본, 중국 등에도 맞서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 역시 2015년 1.7%에서 2020년 1.9%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라며 "바이오대전환에 대응해 바이오 선도국 진입을 촉진할 혁신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바이오' 전략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사진 = 과기부 '디지털 바이오' 전략.

    디지털바이오는 대량의 데이터 축적과 인공지능(AI)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 바이오와 디지털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바이오 기술과 산업을 창출하는 개념이다. 범위는 ▲데이터의 원활한 공유와 연계 활용을 위한 '정보의 디지털화', ▲연구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디지털화', ▲바이오와 디지털 융합을 통한 '신연구·신산업 창출', ▲이들을 지원하는 데이터 기술 연구 주체가 되는 '디지털바이오 생태계 조성' 등 크게 4개로 분류된다.

    강 서기관은 "이에 따른 비전은 '2030년 디지털 바이오로 바이오선도국가에 진입'하는 것"이라며 "기본방향은 5개의 핵심 인프라와 12개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미국 대비 85%의 기술 수준을 확보해 기술격차를 2.5년으로 줄이는 한편, 2023년 기준 연간 4000억원을 투입하고 중장기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의 핵심 인프라는 ▲휴먼디지털 트윈, ▲소재 플랫폼, ▲DNA 바코드 화합물 은행, ▲국가 바이오데이터 스테이션, ▲바이오파운드리 등이며, 12개의 핵심 기술은 ▲첨단뇌과학, ▲디지털치료제(디지털치료기기), ▲전자약, ▲바이오닉스, ▲마이크로바이옴, ▲첨단신약(RNA 등), ▲디지털그린팩토리, ▲병원체 극복 기술, ▲유전자편집, ▲줄기세포 지도, ▲AI 신약 플랫폼, ▲오가노이드 등이다.

    강 서기관은 "디지털바이오 추진 전략은 4개로 세분화되는데, ▲디지털바이오 신기술·신산업 창출, ▲디지털바이오 기반 기술 확보, ▲데이터기반 바이오연구 확산, ▲디지털바이오 생태계 조성 등"이라며 "먼저 디지털바이오 신기술·신산업 창출을 위해 IT와 접목해 첨단 뇌과학,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신개념 연구·산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뇌과학 분야에는 오는 2032년까지 4497억원을 투입해 질환 극복 기술을 상용화하고 오는 2026년까지 국민이 체감하는 전자약 치료사례를 확보하며, 2024년까지 비대면 정서장애 관리 디지털플랫폼을 개발해 공공서비스에 적용할 방침이다.

    바이오소재 등 제조기술 혁신도 추진할 계획이다. 일환으로 산업부과 함께 바이오파운드리에 3000억원대 규모의 예타를 추진하고, 마이크로바이옴, 디지털그린팩토리 등에 대한 기술 개발도 지원할 계획이다.

    RNA, 펩타이드 등 첨단신약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오는 2025년까지 mRNA 등 플랫폼 기술과 감염병 관련 주요 기술에 대한 자립화를 추진하는 등 바이오 신기술로 질병 대응역량도 강화한다. 

    또한 바이오 분석·제어 원천기술, 가상화 기술 등 바이오 전반에 쓰일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가상 실험과 실제 실험 간 양방향 전환으로 탐색부터 생산까지 전주기 바이오 연구개발의 고속화와 최적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강 서기관은 "오는 2027년까지 빅데이터에 기반해 유전자편집과 제어, 복원 기술 등의 효율을 2배이상 올리고, 줄기세포 유전체 지도와 DB 구축도 추진한다"며 "2026년까지는 AI 기술 기반 신약후보물질을 4개 이상 만들고, 인실리코 모델링으로 바이오의 연구 속도와 성공가능성도 높일 계획"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가 기반이 돼야 하기 때문에 오는 2026년까지 국가 바이오 데이터 공유 플랫폼(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K-BDS)을 구축한다. 또한 글로벌 수준의 데이터 관리체계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자유롭게 데이터를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촉진할 방침이다.

    강 서기관은 "올해 제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과 핵심기술 육성을 위한 가칭 합성생물학 육성정, 3세대 치료제 지원을 위한 뇌연구 촉진법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동시에 바이오파운드리, 휴먼 디지털트윈, 첨단신약 지원, 디지털 인력양성 등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디지털바이오전략이 원활히 이뤄지기 위해서는 바이오 생태계에 있는 각 주체들이 자유롭게 활동하고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해 R&D 성과가 사업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민관 협력과 인력양성, 융합연구 활성화, 신규 분야 법·제도 정비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