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의료기기업계에 따르면 초음파기기를 수입하는 A사는 급여화가 시작된 이달 1일 전후로 초음파기기 주문이 늘었다. 이달 현재까지만 비교해도 지난달 대비 매출이 2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초음파를 유통하는 B사 역시 초음파기기를 없어서 못팔 지경이라고 했다. B사 관계자는 “초음파 급여화 이후 주로 중소병원이나 의원이 초음파를 추가로 구입하거나, 일부 진료과가 같이 쓰던 초음파를 개별적으로 쓰기로 하면서 주문량이 늘고 있다”라며 "급여화로 실제로 초음파 검사의 행위량이 느는지는 알 수 없지만 병원들의 제품 수요는 늘었다"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달 1일부터 문재인 케어(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의 일환으로 상복부 초음파 급여화를 시작했다. 복지부는 B형·C형 간염, 담낭질환 등 상복부 질환자 307만여명의 의료비 부담이 평균 6만∼16만원에서 2만∼6만원 수준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대신 복지부는 초음파 검사 이후 특별한 증상 변화나 이상이 없을 때 추가 검사를 하게 되면 비급여가 아닌 본인부담률 80%의 예비급여로 정했다.
앞서 복지부는 2013년 10월 암·심장·뇌혈관질환 등 4대 중증질환자와 의심자를 대상으로 진단 목적인 경우 급여화를 처음 시작했다. 2016년 10월 산전 진찰을 위한 임산부 초음파를 시작했고 4대 중증질환자의 조직검사와 치료 시술 유도 목적의 초음파 급여화도 허용했다.
초음파업계는 2013년부터 급여화 확대에 따른 초음파 판매가 늘어난 경향이 있지만, 같은 기능이면 가격이 저렴한 초음파기기 위주로 판매되고 있다고 밝혔다.
초음파업계 관계자는 “초음파 급여화로 가격이 정해져있다 보니 병원들이 초음파 제품을 굳이 비싼 제품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라며 “2000만~3000만원대의 저렴한 초음파 위주로 팔리고 있다. 1억원의 고성능 제품은 별로 관심이 없다”라고 말했다.
다른 초음파업계 관계자도 "병·의원들은 급여화로 검사 가격이 제한돼 있다 보니 고화질, 고성능의 초음파기기를 구입하기 어렵다고 말한다"라며 "한편으로는 대한의사협회가 복지부의 초음파 급여화 강행을 반대하면서 공격적으로 영업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고 했다.
복지부는 올해 하복부 초음파 급여화에 이어 2019년 여성생식기와 심장, 2020년 흉부, 두경부, 근골격, 비뇨생식기, 혈관 등의 초음파 급여화를 추진하기 위해 관련 학계와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초음파업계는 앞으로도 보급형 제품 위주의 판매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제품 수입이나 생산 준비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관계자는 "이제 막 급여화가 시작돼 정확한 제품별 판매내역은 알 수 없다"라며 "다만 급여화가 되면 의료비 부담이 줄어 검사량이 늘어나 기기 판매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초음파기기는 국내 의료기기 품목 중 생산실적 2위, 수출실적 1위 품목 등을 차지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5조8232억원이며 이 중 초음파기기가 8.5%(4억9500만달러)를 차지해 2위에 올랐다. 또한 초음파기기는 지난해 의료기기 전체 수출실적 3조5782억원 중 17.5%(5억5100만달러)의 비중으로 수출 품목 1위를 차지했다. 초음파 생산실적은 삼성메디슨 외에도 GE헬스케어와 지멘스헬시니어스 등의 외국계 업체가 국내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