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소위 빅5병원이라고 불리는 서울대, 서울성모, 삼성서울, 서울아산, 연대세브란스병원의 응급실 환경이 정부 평가에서 최하위라는 결과가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훈 의원(자유한국당)이 '2016년 응급의료기관 평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지표인 병상포화지수 및 중증상병환자 전체 응급실 재실시간 부문에서 빅5 병원이 전체 대상 144곳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외 지표에서도 대부분 130~140위권에 머물고 있었다.
김상훈 의원은 "응급실 과밀화의 가장 중요한 지표인 '병상포화지수'의 경우(100% 이상시 병상 진료 확률이 0%에 가까움) 서울대병원이 165.5%로 꼴지(144위)였으며, 서울성모병원이 126%로 142위, 연대 세브란스가 120.5%로 140위, 서울아산병원 85.27%로 128위, 삼성서울병원 90위(47.3%)로 나타났다"면서 "모두 하위권"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응급환자가 수술을 받거나 응급환자가 수술을 받거나 병실에 가기 전 얼마나 기다려야 하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증상병환자 응급실 재실시간’ 결과 또한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이 19.2시간으로 또한 최하위(144위)였으며, 서울성모병원이 17.2시간으로 143위, 서울아산병원 14시간(137위), 연대세브란스 13시간(134위), 삼성서울병원 6.6시간(104위) 순으로 빅5병원 모두 최하위권이라는 것이다.
김상훈 의원은 "빅5병원 응급실 내원환자는 병상보다는 간이침대, 의자, 바닥 등에서 진료를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또한 적게는 반나절, 많게는 하루를 꼬박 대기해야만 순서가 찾아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본 조사는 응급환자의 빅5 쏠림현상이 응급실 환경의 질적 저하까지 유발하고 있음을 의미 한다"면서 "빅5병원의 응급실 인프라 수준이 우수한 것은 사실이지만 정부의 평가결과가 이렇게 나온 만큼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도록 평가방식의 개선 또한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