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건강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치료 중심의 보건의료체계가 예방으로 옮겨가면서 자기 주도적 건강관리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과 헬스케어 기업들은 향후 개인이 주체가 돼 건강관리를 책임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국민의 전인적 건강 패러다임과 건강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출범한 한국건강학회는 21일 서울의대 행정관에서 창립총회와 함께 정책토론회와 학술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여러 전문가들은 건강민주화와 함께 개인이 자기 주도적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패러다임을 바꾸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 패널로 참석한 디지털 헬스케어사 메디블록 이은솔 대표는 "과거에는 질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의료가 존재했지만, 이제는 질병이 나타나기 전부터 관리를 하는 예방의학이 발전하고 있다"며 "최근에는 이를 넘어서서 일상생활 속에서 보다 건강하게 사는 것이 의학의 새로운 트렌드"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그러자 과거 병원이 큰 역할을 했던 것과 달리 이제는 개인과 사회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며 "그러나 아직까지 건강정보에 대한 소유와 관리주체는 병원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자신의 의료와 건강정보를 바탕으로 한 질병예방이나 치료서비스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 정밀의료나 유전체, 의료정보, 데이터 등과 함께 개인 맞춤형 의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이 주체가 돼 자신의 건강정보를 소유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현실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건강정보 민주화에 대한 지원도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따라서 이 대표는 정부의 지원도 필수라고 언급했다. 이 대표는 "개인이 가진 의료데이터 등 신뢰도는 암호학이나 블록체인 기술로 해결하고 있지만, 문제는 기존의 정보 소유와 관리주체였던 의료기관이나 국가기관이 여러 이유로 주도권을 개인에게 넘겨주지 못하고 지원해주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의료기관끼리 의료정보를 교류하는 진료정보 교류사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데, 여기에서 그치지 말고 의료기관뿐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전자데이터 형태로 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국의 한 사업시스템처럼 한국에서도 이를 진행해 자신의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도 건강관리의 주체는 환자 본인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대표는 "최근 만성질환관리가 화두인데, 이를 관리하는 주체는 의원이 아니라 환자"라며 "의원은 만성질환을 돕는 역할을 하는 보건의료기관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IT기술과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환자는 만성질환 관련 각종 정보를 측정하고, 저장해 분석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며 "스마트폰 시대에 만성질환환자를 교육해 자가관리 능력을 키우는 것이 병원에서 건강보험재정을 쓰는 것보다 더 비용 효과적이다. 이러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안 대표는 국민 스스로 건강관리 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대국민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관리는 의료기관이나 약국 등 보건의료기관에서 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 교육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안 대표는 "이러한 국민주도 건강관리에 참여하는 개인이나 기업에게는 세제감면이나 보조금 지원 등의 경제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국회와 지방의회에서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이 건강한 습관을 갖도록 건강공동체 문화를 조성하는데 행정적 지원을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 패널로 참석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국 이기일 국장은 국민 건강권과 관련한 여러 의견을 올해 말까지 종합해 정책에 잘 반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