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앞으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제약, 의료기기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선도할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8일 오전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8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을 확정했다.
우선 정부는 첨단, 차세대 의약품과 백신 등 전략적 연구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병원 등에서 발굴한 기초연구 성과를 제약기업으로 이전·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부는 글로벌 항체신약 개발, 백신 개발을 위해 올해 95억원, 내년 116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좁은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신약을 2020년까지 17개로 늘리고, 현재 전무한 글로벌 50대 제약기업을 2018년까지 2개 육성하기로 했다.
또 정부는 의료기기 분야 국내 유망기술에 대한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이를 위해 2018년까지 영상진단기기 등 10대 분야에서 우수기업을 선정, 기술개발에서 임상시험, 수출까지 연계해 지원하고, 의료로봇 등 실용화를 위한 중개연구를 올해 6개에서 내년 1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국산 의료기기 사용경험 확대, 유통관리 선진화를 위해 의료기기 성능 비교검증 지원을 확대하고, 내년 의료기기 고유식별코드를 도입한다.
정밀의료, 재생의료, ICT 기반 의료서비스와 관련, 정부는 기술력과 시장 형성을 위해 제도화 지원에 나선다.
지난달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정밀의료는 유전체 정보 등 코호트를 구축(10만명), 연구 및 산업 목적으로 개방하고(2017~2021년), 3대 진행성 암환자 임상시험을 통한 맞춤형 치료법 도출(2017~2021년) 등 기반 조성을 지원한다.
정부는 손상된 인체기능을 복원하는 재생의료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첨단재생의료법'을 제정, 임상시험 진입 후 환자 치료에 적용하는 기간을 2~5년에서 내년에는 약 3개월로 대폭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복지부는 약사법 상 품목허가 단계 이전에도 재생의료 시술을 병원에서 신속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ICT 기반 보건의료서비스는 국민의 의료이용 편의성 제고에 중점을 두고, 진료정보 교류에 기반한 대형병원과 중소병원 간 협진을 활성화(2017)하고, 건강보험공단, 심평원 등의 보건의료 빅데이터와 연계한 플랫폼을 구축해 질병 재발률 분석, 약물반응 예측 등에 활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