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는 14일 성명서를 통해 “경북 경산 내과의원에서 지역주민의 건강을 지키며 인술을 펼쳐온 동료 고(故) 허영구 원장께서 우리 곁을 떠난 지 열흘하고도 하루가 지났다. 고인에 대한 추모와 슬픔이 채 가시지 않은 지금 한 교수의 기고문이 대한민국 의료인들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고 있음에 깊은 분노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대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가 ‘민간병원 덕분이라는 거짓’이란 글을 한겨레신문에 기고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의협은 “중국으로부터 입국을 조기에 차단한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은 중국과 인접해 있음에도 적은 피해로 초기 방역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거듭된 전문가단체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감염원 차단에 소극적이었던 대한민국은 중국 이외 지역 가운데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가 대규모로 확산됐지만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의료인들의 헌신을 통해 초기 방역의 실패를 극복해왔다”고 했다.
의협은 “그러나 김 교수는 ‘눈앞의 성공’이라는 표현으로 초기 방역의 실패를 덮는 것으로도 모자라, 방역은 성공적이었으나 진료가 잘됐다고 하기는 어렵다며 국민과 의료인들의 노력과 성과를 폄하했다”라며 “공공의료의 민낯을 드러낸 국가의 코로나19 대응 상황을 옹호하며 나이 보정 사망률이 대한민국의 2.5배에 ‘불과’하다는 표현으로 국민에게 잘못된 현실인식을 전달했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김 교수는 병상을 기준으로 공공의료기관에서 75%의 환자를 치료했으며 민간의료기관은 마치 병상만 많이 차지하고,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처럼 기술했다. 코로나19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으로 달려간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의료인들의 땀과 눈물을 매도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코로나19 사태 가운데 심근경색, 뇌출혈 등 의사들의 손길이 필요한 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인들을 욕심 많고 정의롭지 못한 의료인으로 전락시켰다”라며 “어려운 가운데도 지정병원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고 있는 대구동산병원의 의료인들을 부인했고, 병세의 악화로 에크모(ECMO) 등의 도움이 필요한 환자를 받아내는 서울과 전국 각지의 3차 의료기관들의 노력을 정확한 수치도 확인하지 않은 채 폄하했다”고 했다.
의협은 “김 교수는 대구에서 발생한 대량의 환자가 효율적인 의료자원의 이용을 위해 전국의 일부 공공의료기관으로 분산돼 치료되고 있는 사실을 왜곡했다. 마치 지역 내의 공공의료가 매우 부족한 것처럼 말함과 동시에 전국공공의료체계의 존재 이유를 부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특정한 시기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감염병 환자의 치료를 위해 그 지역 내에 그 만큼의 병상이 필요한 것처럼 말하고 있다. 병상을 보유한 민간의료기관이 병상을 내주지 않아 환자가 사망했고 이 때문에 다른 지역의 병원으로 환자의 이송이 필요했다고 주장했다”고 했다.
의협은 “김 교수는 학자 개인의 의견이라 변명할 수도 있겠으나, 대통령 직속 기관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보건의료위원회의 위원장을 맡는 등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인물의 현실 인식에 의료계는 실망을 넘어 개탄한다”라며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보건의료 위기에서 몸을 아끼지 않고 있는 동료들에게 이러한 모욕은 다시는 없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했다.
의협은 “국민과 의료계, 정부와 지자체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감염병 위기 극복이 절실함에도 오히려 의료체계를 민간과 공공으로 단순하게 이원화하고, 마치 편이라도 가르듯 공공기관의 공로만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김윤 교수에게 물으며 강력히 경고한다”고 했다.
의협은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다 희생된 동료와, 오늘도 진료현장을 묵묵하게 지키고 있는 수많은 의료인들을 모욕하지 말아야 한다. 동료의 희생을 모욕하는 아전인수(我田引水)와 곡학아세(曲學阿世)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대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가 ‘민간병원 덕분이라는 거짓’이란 글을 한겨레신문에 기고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의협은 “중국으로부터 입국을 조기에 차단한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은 중국과 인접해 있음에도 적은 피해로 초기 방역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거듭된 전문가단체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감염원 차단에 소극적이었던 대한민국은 중국 이외 지역 가운데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가 대규모로 확산됐지만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의료인들의 헌신을 통해 초기 방역의 실패를 극복해왔다”고 했다.
의협은 “그러나 김 교수는 ‘눈앞의 성공’이라는 표현으로 초기 방역의 실패를 덮는 것으로도 모자라, 방역은 성공적이었으나 진료가 잘됐다고 하기는 어렵다며 국민과 의료인들의 노력과 성과를 폄하했다”라며 “공공의료의 민낯을 드러낸 국가의 코로나19 대응 상황을 옹호하며 나이 보정 사망률이 대한민국의 2.5배에 ‘불과’하다는 표현으로 국민에게 잘못된 현실인식을 전달했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김 교수는 병상을 기준으로 공공의료기관에서 75%의 환자를 치료했으며 민간의료기관은 마치 병상만 많이 차지하고,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처럼 기술했다. 코로나19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으로 달려간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의료인들의 땀과 눈물을 매도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코로나19 사태 가운데 심근경색, 뇌출혈 등 의사들의 손길이 필요한 환자들을 돌보는 의료인들을 욕심 많고 정의롭지 못한 의료인으로 전락시켰다”라며 “어려운 가운데도 지정병원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고 있는 대구동산병원의 의료인들을 부인했고, 병세의 악화로 에크모(ECMO) 등의 도움이 필요한 환자를 받아내는 서울과 전국 각지의 3차 의료기관들의 노력을 정확한 수치도 확인하지 않은 채 폄하했다”고 했다.
의협은 “김 교수는 대구에서 발생한 대량의 환자가 효율적인 의료자원의 이용을 위해 전국의 일부 공공의료기관으로 분산돼 치료되고 있는 사실을 왜곡했다. 마치 지역 내의 공공의료가 매우 부족한 것처럼 말함과 동시에 전국공공의료체계의 존재 이유를 부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특정한 시기 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감염병 환자의 치료를 위해 그 지역 내에 그 만큼의 병상이 필요한 것처럼 말하고 있다. 병상을 보유한 민간의료기관이 병상을 내주지 않아 환자가 사망했고 이 때문에 다른 지역의 병원으로 환자의 이송이 필요했다고 주장했다”고 했다.
의협은 “김 교수는 학자 개인의 의견이라 변명할 수도 있겠으나, 대통령 직속 기관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보건의료위원회의 위원장을 맡는 등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인물의 현실 인식에 의료계는 실망을 넘어 개탄한다”라며 “동시에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보건의료 위기에서 몸을 아끼지 않고 있는 동료들에게 이러한 모욕은 다시는 없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했다.
의협은 “국민과 의료계, 정부와 지자체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감염병 위기 극복이 절실함에도 오히려 의료체계를 민간과 공공으로 단순하게 이원화하고, 마치 편이라도 가르듯 공공기관의 공로만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김윤 교수에게 물으며 강력히 경고한다”고 했다.
의협은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다 희생된 동료와, 오늘도 진료현장을 묵묵하게 지키고 있는 수많은 의료인들을 모욕하지 말아야 한다. 동료의 희생을 모욕하는 아전인수(我田引水)와 곡학아세(曲學阿世)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