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소청과의사회)는 29일 성명서를 통해 "대한한의사협회는 주제 넘게 대한의사협회 파업에 참견하지 말고 첩약 급여화 의혹부터 밝힐 것"을 촉구했다.
한의협은 이날 "의료 독점을 지키기 위해 총궐기를 주도한 의협이 현 상황에 대해 최종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 국민에게 사과해야 할 당사자는 의대생들이 아니라 의협이다. 환자와 학생을 볼모로 삼는 파업은 두 번 다시 반복돼서는 안 되며, 학생들이 의사 파업의 희생양이 되도록 방치하는 것도 있어서는 안 된다"는 논평을 냈다.
이에 소청과의사회는 "한의사들은 약사들과 1993년 한약분쟁을 벌였다. 한의대생들은 1995년 약대 내 한약학과를 둔다는 복지부안에 반발 해 한의대 내 한약학과 설치, 한의약법 제정, 한의약정책국 설치 등을 주장하며 수업거부에 돌입했고, 무려 1년 6개월간 투쟁을 지속한 결과 집단유급을 당했다"고 밝혔다.
소청과의사회는 "또한 2013년 1월 '전국 한의사 휴업 및 궐기대회'는 공휴일이 아닌 평일에 전국 100%에 가까운 한의원과 한방병원의 진료 인력 대부분이 휴업에 들어가는 등 사상 유래 없는 휴업 참여율을 보였다. 그러나 당시 복지부는 한의사들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지 않았고 공정위 조사를 요청하지도 않았다"고 했다.
소청과의사회는 "한의사들이 전면 휴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의료시스템은 전혀 문제가 없었고 국민들은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에 대한 걱정을 전혀 하지 않았다. 이는 한의학이 국민건강에 하등의 기여도 못하고 못하고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소청과의사회는 특히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김순례 당시 미래통합당 의원에 의해 한의사협회장 최혁용의 강의 녹취록을 공개한 사실을 지적했다. 당시 국정감사에서는 최혁용 회장이 청와대에 가서 문재인 케어에 대해 의협은 반대하지만 한의협은 적극적으로 지지하겠으니 첩약급여화를 해달라고 했다는 내용으로 논란이 됐다.
당시 한의협 임원은 ▲김용익 건보공단 이사장이 박능후 장관보다 청와대와 가깝다 ▲김용익 이사장이 청와대 사회수석비서관으로 제자인 이진석 비서관을 꽂았다 ▲김용익 이사장과 이진석 비서관은 '의료사회주의자' ▲최 회장이 이 비서관을 만났고 이 자리에서 '첩약급여화'를 약속했다는 등을 폭로했다.
소청과의사회는 "첩약 급여화는 젊은 한의사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최혁용 회장은 의협 일에 주제넘게 나대지 말고 첩약이 급여화가 되면 '누가 가장 큰 이익'을 얻는지, 그 이익을 얻는자가 젊은 한의사들이 아니라 바로 본인은 아닌지 명백히 밝히기 바란다. 국민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한의학을 폐지하는 데 솔선수범해 나서는 건 어떤지 묻는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