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K-방역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상황 속 전세계 관심을 받는 이유는 발병 초기부터 효율적 진단검사 시스템을 마련하고 관련 규정 등을 대폭 개선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질병관리청 유천권 감염병진단분석국장은 19일 바이오헬스 월드와이드 온라인을 통해 이 같은 한국의 코로나19 진단 대응 전략을 소개했다.
유 국장은 "현재 대한민국은 코로나19 검사를 1일 평균 3만건, 전세계 4번째로 많이 시행하고 있다"며 "검사 결과도 24시간 이내에 나오는 등 매우 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국장은 "이 같은 빠른 대응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교훈 덕분"이라며 "메르스 당시 진단검사에 대한 정책이 별도로 없었고 이로 인해 초기 대응에 문제가 발생해 사망자만 38명이 발생했고 1만 2000명이 격리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메르스 사태가 마무리된 2016년 질병관리청과 정부는 국가 방역체계부터 개편하고, 진단검사 관련 부서를 마련했다. 또한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진단검사 전략도 추진했다.
실제 지난해 진단검사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 훈련을 시행했는데, 코로나19와 비슷하게 발병해 유행 초기부터 대처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유 국장은 "1월 초 의심환자가 신고된 이후 원인 병원체 확인을 위해 움직였고, 1월 20일 해당 검사법으로 첫 환자를 확인했다"면서 "이후 즉각 코로나 바이러스 전체 염기 서열과 검사법을 기업에 공개해 개발을 독려했다"고 밝혔다.
설연휴 이후 국내 확진자는 4명에 불과했으나 질병청은 중국 등의 상황을 보고 폭발적 증가를 예측, 민간기관의 진단키트 개발 독려를 위해 '긴급사용승인제도'를 도입했다.
긴급사용제도에 따라 질병청은 사용적합성을 빠르게 확인한 후 식약처에 긴급사용을 승인하도록 요청했고, 식약처도 12시간만에 결과를 통보, 질병청은 다시 회사에 즉각 생산을 요청하면서 진단키트 대량생산 체제가 1달도 안 돼 구축됐다.
특히 이 과정에서 검사기관도 대폭 늘렸다. 유 국장은 "단순히 진단시약만 많다고 해서 검사를 수만건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신뢰 있는 검사기관과 인력들이 있어야 하는데, 초반에 전국에 검사기관은 공공기관 18곳에 불과했다"면서 "전문의학회 등과 협력해 검사기관 관리프로그램과 의료진 교육 등을 전국적으로 시행해 민간 114곳을 지정했다"고 말했다.
질병청이 개발한 평가를 통과한 의료기관 즉, 민간검사기관이 대폭 증가하면서 전국 624곳의 선별진료소의 검체 확인을 전국에서 확인 가능한 시스템이 마련된 것이다.
유 국장은 "2월초 최대 6시간 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선제적 검사체계가 구축됐고, 검사역량 역시 대폭 확대됐다"면서 "안정적이고 신속한 검사가 가능해지면서 2월 중순 시작된 신천지발 코로나19 대구·경북 대유행 감염에 적극 대응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유 국장은 "현재도 코로나 검사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민간기관과 평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관리도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무엇보다도 진단키트들이 처음 승인을 받았을 때와 똑같은 질을 유지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링도 계속 시행 중"이라며 "감염위험이 높은 요양병원, 정신병원, 입소기관, 군 등에 대해 선제적으로 진단을 시행하고 응급 수술 등이 필요한 경우 1시간 내에 결과가 나오는 응급검사도 허용하는 등 효율적인 대응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코로나19확산을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관리한 이른바 K-방역 전략에 대해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진단검사 전략 추진 ▲정부와 민간의 상시, 긴밀 파트너십 ▲정확한 감염병 발생 위험 인식과 실천 ▲발생 초기 신속한 검사체계 마련 ▲국가 실험실 선제적 검사 ▲검사 지속성 등으로 요약하면서, 유 국장은 "현재 미국, 유럽 등에서 하루에 수만명씩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 각 나라들도 검사체계와 역량을 제대로 구축하고, 국가 규정도 효율적으로 바꿔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