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 국경없는의사회가 지난 3일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 기후 보건 그리고 한국의 역할'을 주제로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실에서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경없는의사회와 국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이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포럼은 기후위기가 환경 문제를 넘어 전 세계적 보건 위기로 확산되고 있다는 인식 아래 마련됐다.
중저소득국가의 취약 계층은 기후 변화로 인한 감염병 확산, 영양실조, 강제이주, 보건 서비스 접근성 제한 등 다양한 보건 위협에 노출되고 있어, 국제적인 협력과 대응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국경없는의사회는 현장 활동을 통해 확인한 기후위기의 직접적인 보건 영향과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특히, 기후 탄력성을 갖춘 보건 시스템 구축과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조직 차원의 실천 방안을 소개하며, 인도주의 원칙 아래 지속 가능한 구호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정해관 성균관대 의과대학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개회식에서는 국회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포럼 공동대표인 이재정 의원, 그리고 국경없는의사회 엠마 캠벨 한국 사무총장이 개회사를 전했다.
국경없는의사회 엠마 캠벨 한국 사무총장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보건과 기후 대응을 선도하고 있는 국가로서 기후-보건 연계 정책 및 활동에서 전 세계적 모범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이러한 논의의 장이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하은희 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가 '취약 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 건강'을 주제로 발표했고 두 번째 발표에서는 제사 폰테베드라 국경없는의사회 스위스 의료 총괄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경없는의사회의 인도적 지원 노력'을 전했다.
폰테베드라 의료 총괄은 "기후변화와 인도적 위기는 밀접하게 연관돼 있으며, 국경없는의사회는 인도적 단체로서 탄소 배출 감축 및 기후 적응 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이러한 경험들을 앞으로도 꾸준히 한국의 국제개발 및 인도적 단체들과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발표 이후에는 이연수 한국국제협력단(KOICA, 코이카) 사업전략처장, 이진원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과장, 패트릭 지통가 녹색기후기금(GCF) 보건 및 기후 선임전문가, 정현미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부회장이 발표자들과 함께 토론을 이어갔다.
이연수 사업전략처장은 "코이카는 국경없는의사회와 같은 보건전문기관과의 포괄적 파트너십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보건위기와 같은 복합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내외 전문가 및 정책 관계자들이 참여한 이번 포럼에서는 한국이 글로벌 보건 공여국으로서 수행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졌다. 한국의 기술력과 국제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보건 외교의 확대 필요성도 제기됐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이번 포럼이 한국 사회가 기후와 보건 문제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전 세계 보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