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국내 연구진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종양 주변의 면역세포가 종양의 진화 및 항암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난치암연구사업단의 남도현 교수팀은 미국 잭슨랩의 로엘 버락 교수팀, 미국 엠디앤더슨 암센터의 에릭 술만 교수팀과 협력해 연구를 수행했다.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뇌종양 중 가장 악성도가 높은 암으로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단 후 기대 생존기간이 1년여에 불과한 난치성 암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교모세포종의 암조직, 환자유래세포, 종양 단일세포의 유전체 정보를 비교 분석해 종양 세포와 주변 미세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종양이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 후 항암내성을 획득해 진화하는 과정에 종양 주변의 면역세포가 관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종양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종양 주변 미세환경의 면역세포 중 M2 대식세포의 발현이 많아질수록 방사선 치료에 저항성이 높아지고, CD8+ T세포의 발현이 많아질수록 항암제 치료에 의한 과돌연변이가 유도돼 항암제 치료 내성이 발생,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다는 것을 관찰했다.
대식세포는 면역세포의 하나이며, 종양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사이토카인을 방출해 종양의 성장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면역세포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암내성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의 표준 치료법과 면역 미세환경을 조절하는 면역 치료의 병용요법이 뇌종양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남도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의 종양 진화와 관련한 유전체 기반 표적치료에 면역 미세환경 조절 치료제를 병용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해 뇌종양 치료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암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인 ‘캔서셀(영향력 지수 IF 27. 407)’ 인터넷판에 7월 10일자로 게재됐으며, 보건복지부의 선도형 특성화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