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최근 공공임상교수제와 연계한 국립대병원-지방의료원 전공의 공동수련 모델 개발 목적의 시범사업 시행에 강한 우려를 밝혔다. 공공임상교수제는 만성적인 공공의료원의 인력난 해소를 지원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로, 현재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다.
대전협은 20일 입장문을 통해 공공임상교수제조차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상황에서 전공의 공동수련제도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비판했다.
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동수련제도는 단순히 인력 충원용으로 활용될 뿐, 명목상 언급된 전공의의 다양한 임상 경험은 오히려 단순화되는 등 수련의 질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실제 공공임상교수 지원율은 기대와 달리 저조한 실정이다. 불안정한 신분과 낮은 급여 등이 그 이유로 언급되고 있다.
대전협은 지방의료원의 의료인 충원 및 시설환경 개선 못지않게 전공의를 교육할 인력과 체계 역시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지방의료원의 낮은 전공의 지원율은 이를 방증하는 지표로 꼽기도 했다.
대전협 이한결 정책이사는 ”공공임상교수제가 충분히 뿌리내린 뒤 지역사회 의료를 소생시키기 위한 공동수련 등의 논의가 온전히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위한 또 하나의 전제조건은 수련제도 운영에 관해 의료현장의 일선에 있는 전공의의 목소리가 충분히 담겨야 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대전협 강민구 회장은 “공공임상교수가 충분히 충원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공의 공동 수련제도 도입은 단순한 저가 인력 품앗이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며 “공공임상교수의 충분한 충원 및 지방의료원 수련환경 개선 등의 전제조건이 어느 정도 무르익은 후 공동수련제도 등의 논의를 이어가는 게 옳은 방향”이라고 했다.
대전협은 현재 논의 중인 공동수련제도의 운영에 대해 대안도 제시했다. 지방을 중심으로 수련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면 수련환경의 질이 좋은 병원으로 전공의 정원을 집중하고, 동일 권역 혹은 지역 내의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을 연계한 공동수련제도 도입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공동수련제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타 지역에서 파견된 공공임상교수가 수련교육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권역 혹은 지역 내 중대형병원과 중소병원의 연계, 중대형병원과 지방의료원을 연계하는 방안이 더 실효성 있는 정책설계라고 주장했다.
강 회장은 “지역사회 필수의료 및 미충족 의료 문제 해결과 다양한 임상 경험을 통한 수련교육 강화를 목적으로 한 제도를 도입하고자 한다면, 그 취지에 맞는 토대를 충분히 조성한 후에 정책안 도입을 논의해야 한다”며 “전제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시범사업을 진행할 경우 수련교육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공의들이 큰 혼란을 겪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