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공의협의회는 입원전담전문의 인터뷰 질문 모집을 위해 지난 6월부터 전공의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이번 설문에는 전공의 90명이 참여했으며 전공과로는 내과(36.6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연차별로는 3년차(27.78%), 4년차(27.78%) 등 고년차 레지던트가 주로 설문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입원전담전문의 진로의 가장 큰 단점으로 '불안정한 고용(83.33%)'을 꼽았다. 실제 대부분의 입원전담전문의가 계약직으로 채용되고 있어 고용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불확실한 진로(58.89%) ▲기존 과 의료진과 의견 충돌(58.89%) ▲잦은 야간 당직(57.78%) ▲사회적 지위 및 인식(33.33%)이 단점으로 꼽혔다.
반면 입원전담전문의가 가지는 장점으로는 ▲근무 시간 조정의 자율성(57.78%) ▲대학병원 근무의 이점(57.78%) ▲연구 등 진료 외 업무 부담 최소(52.22%) ▲높은 연봉(4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높은 관심과 장래성’을 장점이라고 꼽은 응답자는 6.67%에 그쳤다.
응답 결과를 반영하듯 전공의들은 입원전담전문의의 ▲업무 독립성 ▲정년 보장, 정규직, 연금 등 고용 안정성 ▲환자 수나 전담의 수, 외래, 당직 등 업무강도 및 근로환경 등에 대해 가장 많이 궁금해했다.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입원전담전문의가 생각하는 애로사항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한입원전담전문의협의회는 지난 7월 내과계 입원전담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55명 대상 24명 응답)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입원전담전문의를 지원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직업 안정성(50.0%) ▲레지던트 업무에 대한 심적 부담(41.7%) ▲급여(33.3%) ▲새로운 역할에 대한 부담(29.32%) ▲근무여건(29.2%) 순으로 꼽았다.
입원전담전문의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병원은 ▲입원전담전문의의 병원 내 역할 정립(87.5%) ▲점진적 급여 인상(45.8%) ▲고용의 안정성(41.7%)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정부는 ▲제도적 뒷받침(75%) 및 수가인상(70.8%) 등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주위의 권유(29.2%), 워라벨(29.2%), 언론 자료(20.8%) 등을 통해 입원전담전문의에 지원했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 41.7%가 현재 근무여건에 만족했으며 내년에도 근무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62.5%에 그쳤다. 계속 근무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는 과도한 업무 로딩(58.3%), 인력부족(33.3%), 급여(33.3%) 등이 언급됐다.
서연주 대전협 홍보이사는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 안전한 의료 환경을 위해 반드시 정착되어야 할 제도”라며 “시범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국의 사례처럼 신속한 활성화 및 보편화를 위해서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