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레모넥스,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사업 선정

    2028년까지 코로나19 mRNA 백신 제품 허가 목표 연구사업

    기사입력시간 2025-04-21 13:48
    최종업데이트 2025-04-21 13:48


    레모넥스(Lemonex)가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사업'에 선정되었다고 2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코로나19 mRNA 백신 제품 허가를 목표로 비임상부터 임상3상까지 총사업비 5052억원을 지원하는 초대형 연구사업이다. 

    국책사업에 선정된 주관기업은 총 4개사로 이 중 국제재단 감염병대비혁신연합(CEPI)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mRNA 백신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은 레모넥스가 유일하다.

    레모넥스는 CEPI와 2023년 12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디그레더볼-리듀써나' mRNA 백신 플랫폼을 자체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미지의 감염병(Disease X)에 대한 신규의 mRNA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으로, 약물투여로 인한 인체내 전신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온도안정성이 개선된 mRNA 백신 개발을 목표하고 있다. 

    CEPI의 Disease X 포트폴리오 가운데 레모넥스와 바이오엔텍이 1상을 완료해 글로벌에서 가장 앞서 있다. 레모넥스의 코로나19 mRNA 백신후보물질 LEM-mR203의 1상 주요평가 지표에서 임상약과 관련된 중대한 약물이상반응(SAE)은 발생하지 않았다. 일부 대상자에게서만 투여부위 통증, 압통 등 1등급 수준의 경미한 부작용 사례만 보고됐고, 기존 mRNA 백신 대비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한편, 16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회원국가간 '법적 구속력이 있는 팬데믹 대비 협정'을 체결했다. WHO는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가 WHO를 탈퇴한 이후 미국을 제외한 WHO 회원국 간의 법적 구속력이 있는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 교훈을 얻고 전세계의 미래 팬데믹을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레모넥스 원철희 대표는 "향후 글로벌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획기적으로 전염병 예방에 기여한 mRNA 백신을 미국에 의존하지 않고, 전세계에 공급 가능한 mRNA 플랫폼 기술에 대한 니즈가 더 커질 것이다. 레모넥스는 CEPI와 mRNA-디그레더볼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지원사업에 선정됐다"면서 "국책사업 수행을 통해 레모넥스는 안전한 mRNA 백신의 개발 및 글로벌 공급을 위해 질병관리청 및 CEPI와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는 국가전략기술을 확보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