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새정부가 국가 주도의 바이오 빅데이터 수집과 인공지능(AI) 신약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남기태 과학기술교육분과 인수위원은 28일 브리핑을 통해 바이오 대전환을 위한 디지털 바이오 육성계획을 이같이 밝혔다.
남 인수위원은 "연구자가 실무를 직접 관찰해야 하는 전통적인 R&D로는 신약개발까지 평균 15년, 1조원이 들며 1만개 후보물질 중 1개만 성공 가능하다"면서 "그러나 디지털 기술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하면, 임상시험 속도와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성공률을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남 인수위원은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기반한 최신 R&D 연구를 적용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기존의 바이오 R&D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며 "실제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등의 개발과정에서도 인공지능, 데이터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개발 기간이 대폭 단축됐다"고 설명했다.
이같이 1년여만에 신약후보물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오 패러다임 대전환기를 맞아 인수위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실천과제 4가지를 국정과제로 제안했다.
남 인수위원은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로 연구하는 '디지털바이오' 패러다임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면, 국가 바이오기술 경쟁력 확보의 열쇠가 될 것"이라며 "우선 국가적인 바이오 데이터 공유와 활용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공공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바이오데이터를 집적하는 스테이션을 구축하고, 바이오연구자가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국가가 제공하는 방식이다. 국민 세금이 투입되는 R&D로 생성된 모든 데이터는 공개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용한 바이오R&D 플랫폼을 구축하고, 암, 치매, 진단 발달장애 등 바이오 난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 활용 연구를 발굴·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신약·신기술 스케일업 플랫폼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남 인수위원은 "합성생물학, 뇌컴퓨터인터페이스, 전자약, 디지털치료제(디지털치료기기·DTx), 유전자가위 등 바이오 유망기술을 육성하는 범부처 기획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신기술을 빠르게 사업화하도록 기존 지원 인프라를 연계·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체계를 마련해 바이오대전환에 대응하는 핵심과제를 도출하고, 바이오 혁신 전략 수립과 관련 법·제도도 정비해나가겠다고 부연했다.
남 인수위원은 "디지털 기술 접목한 바이오R&D를 성공적으로 이행하면 국가 신약개발의 효율성, 생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화학, 소재, 에너지, 탄소중립 등 다른 분야에도 바이오 생산기술이 접목되면서 기존 산업의 한계 극복하는 돌파구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번 바이오 대전환을 위한 디지털 바이오육성 계획은 앞서 지난 25일 백경란 인수위 사회복지문화분과 인수위원이 보고한 '디지털헬스케어 육성계획'과 같은 맥락으로 추진된다"면서 "인수위 활동 기간 동안 실천과제 외에도 새정부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