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정부가 중국 전역으로 입국 차단 조치를 하지 않고, 중국 인근 동남아 지역으로의 오염지역 확대 조치에 나서지 못한 결과는 누가 책임질 것인가. 의료계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이 확산할까 우려스럽다.
지역사회 전파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7일 오전 9시부터 사례정의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제5판 우한 폐렴 대응 절차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중국 후베이성 뿐만 아니라 중국 전역을 방문한 후 14일 이내에 발열 또는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을 보인 사람이 의사환자(의심환자)로 분류된다.
또한 의사 소견에 따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의심되는 환자도 의사환자의 포함된다. 지역사회 유행국가를 여행한 후 14일 이내에 발열 또는 호흡기증상이 나타났거나 기타 원인 불명 폐렴 증상이 있으면 여기에 해당한다.
하지만 태국이나 싱가포르 등 중국 외 지역은 이번 구체적인 사례정의에 추가되지 않았다. 일본, 태국, 싱가포르 등 제3국 입국자들이 잇따라 확진자로 판정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도 않은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특징은 경증이자 초기부터 전염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른 바이러스보다 치명률은 상당히 낮지만 전염력이 높다는 게 최근 나와 있는 연구결과다.
향후 어느 정도 감염자가 누적되면 지역사회 확산에 대한 가능성이 있고 이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도 정부가 후베이성으로 한정된 사례정의를 결정할 때처럼 지나치게 신중한 결정이 초래할 결과가 두렵다. 이미 2차, 3차 감염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국 확산이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본다.
연락 두절된 우한 입국자 30명(내국인 1, 외국인 29)에 대한 추적조사도 아직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23번째 확진자는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입국한 전수조사 대상자였지만 그동안 찾을 수 없던 대상자였다. 이번처럼 국내 여행을 한 다음에 뒤늦게서야 연락이 닿거나, 아예 행방을 알 수 없는 중국인 입국자의 행방도 우려스럽다
정부는 민간의료기관 50여곳에서 하루에 2000건의 검사가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검사 진단 키트의 보급으로 검사 대상이 늘어나면 확진자 급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진단 대상이 늘면 감염원을 추정하기 어려운 지역사회 감염 환자가 속출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국가격리병상은 198곳에 불과해 이보다 많은 환자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음을 고려해 이를 대비해야 한다.
※칼럼은 칼럼니스트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