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꿀잠 프로젝트, 꿀잠 자야 건강하다
① 수면시간 5시간 이하, 적정수면 대비 복부비만 1.96배·대사증후군 1.69배
②잠못드는 노인들...노인 절반은 불면증, 고령일수록 수면장애 증가
③잠 못잔 노동자, 술 취한 사람과 비슷...18시간 못자면 혈중 알코올 농도 0.05%
④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청소년들 4명 중 3명은 수면부족 상태
⑤교대근무 간호사들 수면장애 심각...3일 연속 야간근무하면 불면증 6.5배
⑥넷플릭스 보느라 늦게 자면 다음날 아침 긍정적 감정 감소
⑦노인 불면증 만성화...증상 평균 10년, 장기 수면제 복용 73.5%
⑧청소년 등교시간 한 시간만 늦춰도 학습 능률 향상·교통 사고 예방
⑨멜라토닌 보충제 31개 함량 확인해보니…-83%부터 +478% 널뛰기
⑩하루만 제대로 못자도 다음날 아침 불안할 확률 높아져
⑪수면과 사망률...REM수면 5% 줄면 중·노년층 사망률 13% 증가
① 수면시간 5시간 이하, 적정수면 대비 복부비만 1.96배·대사증후군 1.69배
②잠못드는 노인들...노인 절반은 불면증, 고령일수록 수면장애 증가
③잠 못잔 노동자, 술 취한 사람과 비슷...18시간 못자면 혈중 알코올 농도 0.05%
④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청소년들 4명 중 3명은 수면부족 상태
⑤교대근무 간호사들 수면장애 심각...3일 연속 야간근무하면 불면증 6.5배
⑥넷플릭스 보느라 늦게 자면 다음날 아침 긍정적 감정 감소
⑦노인 불면증 만성화...증상 평균 10년, 장기 수면제 복용 73.5%
⑧청소년 등교시간 한 시간만 늦춰도 학습 능률 향상·교통 사고 예방
⑨멜라토닌 보충제 31개 함량 확인해보니…-83%부터 +478% 널뛰기
⑩하루만 제대로 못자도 다음날 아침 불안할 확률 높아져
⑪수면과 사망률...REM수면 5% 줄면 중·노년층 사망률 13% 증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REM(rapid eye movement, 빠른 안구 움직임이 있는 수면) 수면이 줄어들면 중년 및 노년층의 사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해 REM수면 시간 역시 충분히 갖지 못하거나, 특정 약물 사용, 건강 상태 등의 요인으로 REM수면이 일정 비율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의 주기는 90분 단위로 REM 수면과 비REM 수면이 교대로 이뤄지며 REM수면이 전체의 20~25%를 차지한다. REM 수면은 급속한 안구 운동과 함께 호흡이 불규칙하게 빨라지고 팔다리도 자주 움찔거린다. 수면 중인데도 마치 깨어 있는 것처럼 뇌 활동이 활발해 꿈을 꾸기도 한다. 대신 REM수면은 뇌의 기억 강화 등 긍정적인 기능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비REM수면은 깊은 잠을 뜻하며, 기억을 저장하고 피로회복의 역할을 한다. 수면의 질은 일정한 비율을 유지할 때 좋아진다. REM이 줄고 비REM수면만으로 수면주기를 유지한다 해도 수면의 질이 올라가지 않는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소니아 앙콜리-이스라엘(Sonia Ancoli-Israel) 교수팀은 12년동안 REM수면이 5%씩 감소하는 것은 사망률이 13% 증가하는 것과 관련 있다고 미국의사협회 신경학회지(JAMA Neurology) 7월호에 발표했다.
수면 시간 감소가 정신 및 신체 건강의 나쁜 결과와 관련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으나, 아직 REM 및 비-REM 수면과 사망률과의 상관관계는 정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수면 시간 중에서 특히 REM수면에 한정해 수면과 사망률과의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췄다. 대신 REM수면과 비REM 수면의 비교는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REM 수면 감소가 사망 위험 증가와 관련 있다고 가정하고 2개의 독립적인 코호트에서 연관성을 추적 관찰했다. 연구에는 REM 수면 및 사망률 데이터가 있는 참가자가 포함됐다.
연구팀은 노인 수면장애 결과(MrOS) 코호트에서 2003년 12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미국 6개 센터에서 모집된 2675명(평균 연령 76.3세, 남성 100%)이 중앙값 12.1년으로 추적 관찰됐다.
연구팀은 또 다른 위스콘신 수면 코호트(WSC)를 통해 1988년에 시작, 1376명(평균 연령 51.5세, 남성 54.3%)이 있었고, 중앙값은 20.8년 추적 관찰됐다.
두 코호트는 연구 결과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됐다.
그 결과, 노인 수면장애 연구 참가자들을 분석했을 때 REM 수면이 5%씩 감소했을 때마다 사망률이 1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HR 1.13). 이 결과는 심혈관 관계와 다른 원인에 의한 사망에서 유사했으나 암 관련 사망률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하룻밤 당 REM 수면율이 15% 미만인 참가자의 사망률은 15% 이상인 사람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젊은 여성을 포함하고 긴 추적기간을 가진 WSC 코호트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연구 참가자들의 REM 수면 평균 비율은 19.2%였다. REM 수면 최하위 25%에 해당하는 참가자들은 대체로 나이가 많고 항우울제 복용률이 높았다. 또한 고혈압, 일시적인 허혈성 발작률, 심장마비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활동이 적었다. 성별에 따라 데이터를 계층화했을 때 REM 수면 감소와 사망률 사이의 연관성은 여성에서는 유의했으며 남성은 그렇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특정 약물이 수면 구조에 영향을 미치면 REM 수면을 증가시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삼환계 항우울제 등은 REM 수면을 감소시키는 반면 가바펜틴, 프라조신, 부프로피온은 REM 수면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이러한 약물이 실제 사망률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정확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논평에서 "수면과 사망률의 연관성이 총 수면시간의 단순한 측정치 이상으로 확대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앞으로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