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목포시)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히면서, "재판에서 인증 사실을 악용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ISO37001은 한국컴플라이언스인증원(KCCA) 등 민간의 제3자 기구가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현장실사 등을 통해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을 인증하는 것으로, 완료까지 통상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제약사 55개사가 인증을 받았다.
김 의원실 분석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식약처가 제약업계 리베이트로 적발한 사례는 총 35건이다. 이중 22건에 해당하는 제약사가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을 마련했다며 ISO37001 인증을 받은 곳이다.
또한 유명 제약사들은 리베이트로 판매정지 처분을 받은지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ISO 인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2018년 7월 판매정지와 과징금 처분을 받은 그 달에 ISO 인증을 받았다. 이후 2020년 2월에 다시 리베이트로 적발됐으며, 올해 5월 인증 갱신을 받았다.
김 의원은 "기업들이 리베이트 적발에도 불구하고 ISO인증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것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라며 "또한 불법행위로 적발되거나 관련된 법적 분쟁시 인증을 받은 점을 근거자료로 악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보건복지부는 업계의 자율참여라는 이유로 현황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며 "산업자원통상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 등 관계부처가 ESG경영의 지표가 되는 인증제도 및 ISO의 신뢰성 제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