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식 원장은 최근 보사연 보건복지포럼 '2021년 보건복지 정책의 전망과 과제'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 원장은 2021년 가장 중요한 보건의료정책 과제로 코로나19 방역과 일상을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감염병 통제’를 꼽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의료계와의 파트너십이다.
정부는 지난해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의대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 첩약급여화 시범사업 등 이슈로 인해 의료계와 큰 마찰을 빚어왔다. 결국 지난해 8월, 20년만에 가장 큰 의료계 파업 사태까지 맞으며 의정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았다.
2020년 9월 4일 의정합의가 이뤄지긴 했지만 최근에도 의대정원 확대 등 논란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조 원장은 "코로나19가 던져 준 공중보건 위기 상황을 타파하기 위한 각종 보건의료정책 과제의 추진은 어쩔 수 없다"며 "그러나 정책 과제들은 국민적 합의와 함께 의료계의 동의 없이는 성취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선 의료계와 함께 소통하고 대화하는 파트너십의 관계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와 의료계의 파트너십 구축이 향후 정책 과제 추진에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조 원장은 올해 보건의료데이터 관련 법과 제도의 변화도 예견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원격의료 등 비대면 사회가 일상화되면서 디지털화, 빅데이터, 개인 데이터 등에 대한 법과 제도 개선이 활발히 추진될 것이라는 견해다.
조 원장은 "올해는 한국판 뉴딜에 의한 디지털 댐 구축과 활용이 보건복지 정보통계정책에서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를위해 우선 정보 분야에서는 데이터에 초점을 맞춰 중앙정부와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 자료를 공개하고 공공·민간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 원장은 "공공은 민간 고유의 빅데이터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활용될 수 있도록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민간은 개인정보의 노출 위험이 없이 민간과 공공의 빅데이터가 연계돼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이 때 빅데이터 분석‧활용 시 AI 알고리즘의 편향성·공정성·윤리성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이종 데이터 결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관련 법·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견해다.
또한 이외에도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조 원장은 ▲건강성 보장과 계층‧지역별 격차 완화 ▲정신건강사업 확대 ▲상병수당 등 보장성 강화의 외연적 확장 등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