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가 확산 중인 가운데 기존 정부 정책의 대격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검사를 확대하는 한편, 교회 등 취약시설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대한병원협회‧대한감염학회‧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대한예방의학회는 19일 오후2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코로나19 대응 긴급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의료계의 이목이 쏠린 부분은 단연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전파 확대였다. 19일 오전 해외여행 이력이 없는 환자 15명이 무더기로 발생하면서 향후 정부의 대응 정책 변경이 불가피하게 됐기 때문이다.
특히 이날 참석자들은 더 이상의 지역사회 전파를 막기 위해서라도 진단검사를 확대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이뤘다. 환자 조기 발견에 힘쓰고 접촉자 수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다중이용시설과 요양병원 등 감염 취약 시설에 대한 예방 대책도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엄중식 대한의료관련감염학회 정책이사(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는 발제를 통해 "지역사회 감염 유행이 확실시 된 상황이다. 정부의 방역체계가 바뀌어야 할 시기"라며 "의심환자 사례 정의 변경을 통해 확진 검사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질병관리본부‧지자체 보건환경연구원‧민간기관 등 80개로 검사 기관을 확충하고 진단 시약생산 증대와 진단 효율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게 엄 이사의 견해다.
그는 "검체 채취 기관을 현재 407개에서 440개로 늘린다고 한다. 문제는 레벨D 수준의 보호구를 입고 검체를 채취하고 다시 새 보호구를 변경해야 하는데 시간이 30분 이상 걸린다. 지금처럼 효율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검사 확대가 힘들다. 치명율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기 때문에 보호구 축소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엄중식 이사는 "보건소와 중소병원의 음압채담실을 지원, 활용하고 검체 채취를 위한 이동팀도 구성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의원급 의료기관은 현실적으로 공간이나 인력적인 면에서 한계가 있어 참여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이 반드시 선별적으로 이뤄져야 이 같은 정책이 성공할 수 있다는 점도 강조됐다. 엄 이사는 "폐렴 환자 선제 격리나 음압실 확보를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경영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병원과 협력이 필수인 상황에서 이들의 경영손실 방안이 명확하게 공개되지 않으면 병원들이 움직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 지원을 강력히 요청했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대책위원장(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은 "(31번째 환자로)교회에서 확진자가 대량으로 발생했다. 좁은 장소에 다수가 모이는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며 "병원이나 극장 같은 다중이용시설은 상대적으로 감염 관리가 잘되고 있는 반면 종교시설은 관리가 빈약하다"고 지적했다.
엄중식 이사도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은 노약자 등 감염에 취약한 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이 같은 장소에 대한 외부 방문 제한이나 종사자 관리 등 계획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10시 30분 문재인 대통령도 전국 17개 시도교육감 간담회에서 "지역사회 감염 대응 체계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 지역사회에 확실한 지역방어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병원, 요양시설 등 취약시설과 교회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