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지난 10년간 피부과·성형외과·마취통증의학과·재활의학과·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은 개원가에서 활동하는 비율이 증가한 반면,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외과·흉부외과 전문의들은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6월 기준 활동중인 전문의는 9만3399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2만6727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유형별로 살펴보면 의원급 의료기관이 4만4139명으로 47.3%를 차지했고, 상급종합병원 15%(1만4041명), 종합병원 19.3%(1만8058명), 병원 11%(1만267명)였다.
10년 전인 2012년과 비교해보면 활동중인 전문의의 의료기관 유형별 비율은 상급종합병원 15.2%(1만119명), 종합병원 17.7%(1만1786명), 병원 13.8%(9227명), 의원 47.8%(3만1902명)으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다만 전문과목별로 구분해 살펴보면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의원급에서 활동하는 전문의 비율이 가장 높은 피부과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는 10년 전 대비 9.8%에서 7.4%로 2.4%가 감소한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전문의는 80.3%에서 84.4%로 4.1%로 증가했다.
성형외과 역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는 12.4%에서 9.6%로 2.8% 감소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전문의는 67%에서 73.7%로 6.7% 증가했다.
최근 통증, 투석, 척추질환 치료로 개원이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진 마취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응급의학과의 경우도 같은 기간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전문의 비율이 줄고 개원가 활동의사 비율이 늘었다.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비율이 마취통증의학과는 17.1%→15.3%, 재활의학과는 12.2%→9.8%, 응급의학과는 26.2%→21.2%로 감소한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비율은 마취통증의학과 39.5%→45.4%, 재활의학과 26%→30.6%, 응급의학과 5.7%→8.6%로 줄었다.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망 사건으로 이슈화된 신경외과 전문의 역시 같은 기간 상급종합병원 근무 비율이 17%에서 16.5%로 소폭 감소한 반면, 의원급 근무 비율은 20.6%에서 23.8%로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외과, 흉부외과 등은 오히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전문의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생으로 진료가 줄고 있는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의원급 의료기관 근무 비율이 각각 58.2%에서 53.5%, 63.2%에서 52.3%로 감소했지만 상급종합병원은 근무 비율은 7.3%에서 7.9%, 10.4%에서 13.8%로 소폭 상승했다.
외과, 흉부외과도 의원급 의료기관 근무 비율은 각각 46.2%에서 39.4%, 33.3%에서 30.4%로 줄어든 반면, 상급종합병원 근무 비율이 외과 15.4%→18.7%, 흉부외과 29.8%→31.3%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혜영 의원은 “전문과목에 따라 주로 활동중인 의료기관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며 “과도한 당직, 고위험 수술 등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상급종합병원보다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시술 위주 진료가 가능한 의원급 의료기관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각 과목 진료 특성에 맞는 의료기관 유형에 전문의가 배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필수의료, 중증·난치질환 치료 기술을 수련하고자 하는 인력은 진료·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해주는 ‘핀셋 대책’이 필요하다”가 덧붙였다.
22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6월 기준 활동중인 전문의는 9만3399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2만6727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유형별로 살펴보면 의원급 의료기관이 4만4139명으로 47.3%를 차지했고, 상급종합병원 15%(1만4041명), 종합병원 19.3%(1만8058명), 병원 11%(1만267명)였다.
10년 전인 2012년과 비교해보면 활동중인 전문의의 의료기관 유형별 비율은 상급종합병원 15.2%(1만119명), 종합병원 17.7%(1만1786명), 병원 13.8%(9227명), 의원 47.8%(3만1902명)으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다만 전문과목별로 구분해 살펴보면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의원급에서 활동하는 전문의 비율이 가장 높은 피부과의 경우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는 10년 전 대비 9.8%에서 7.4%로 2.4%가 감소한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전문의는 80.3%에서 84.4%로 4.1%로 증가했다.
성형외과 역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는 12.4%에서 9.6%로 2.8% 감소하고,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전문의는 67%에서 73.7%로 6.7% 증가했다.
최근 통증, 투석, 척추질환 치료로 개원이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진 마취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응급의학과의 경우도 같은 기간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전문의 비율이 줄고 개원가 활동의사 비율이 늘었다.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비율이 마취통증의학과는 17.1%→15.3%, 재활의학과는 12.2%→9.8%, 응급의학과는 26.2%→21.2%로 감소한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비율은 마취통증의학과 39.5%→45.4%, 재활의학과 26%→30.6%, 응급의학과 5.7%→8.6%로 줄었다.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사망 사건으로 이슈화된 신경외과 전문의 역시 같은 기간 상급종합병원 근무 비율이 17%에서 16.5%로 소폭 감소한 반면, 의원급 근무 비율은 20.6%에서 23.8%로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외과, 흉부외과 등은 오히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전문의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생으로 진료가 줄고 있는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의원급 의료기관 근무 비율이 각각 58.2%에서 53.5%, 63.2%에서 52.3%로 감소했지만 상급종합병원은 근무 비율은 7.3%에서 7.9%, 10.4%에서 13.8%로 소폭 상승했다.
외과, 흉부외과도 의원급 의료기관 근무 비율은 각각 46.2%에서 39.4%, 33.3%에서 30.4%로 줄어든 반면, 상급종합병원 근무 비율이 외과 15.4%→18.7%, 흉부외과 29.8%→31.3%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혜영 의원은 “전문과목에 따라 주로 활동중인 의료기관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며 “과도한 당직, 고위험 수술 등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상급종합병원보다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시술 위주 진료가 가능한 의원급 의료기관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각 과목 진료 특성에 맞는 의료기관 유형에 전문의가 배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필수의료, 중증·난치질환 치료 기술을 수련하고자 하는 인력은 진료·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해주는 ‘핀셋 대책’이 필요하다”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