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키워드 순위

    메디게이트 뉴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경제, 의약품 200여종 긴급수요·디지털 마케팅 4배 증가

    모든 산업군 연계한 빅데이터와 자급화·디지털화..산업부 “규제 철폐와 과감한 지원” 약속

    기사입력시간 2020-06-20 07:59
    최종업데이트 2020-06-20 07:59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COVID-19) 이후 바이오 시장의 수요 변화에 따라 마케팅의 디지털화는 물론, 원·부자재의 자급화, 다양한 분야의 빅데이터 융복합 플랫폼·거버넌스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요의 변화와 속도에 따라 공급도 움직여야만 살아남을 수 있으며, 그렇지 못할 경우 바이오경제가 붕괴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융합산업과 김재준 과장은 19일 한국과총 바이오경제포험에서 이 같은 산·학·연의 요구에 대해 "신종 감염병 대처를 위해 큰 정부가 필요한만큼,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 19의 전세계 대유행에 따라 원격의료가 1388% 증가했고, 보건의료전문가 대상 디지털 마케팅·영업은 4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대면진료를 위한 병의원 방문은 75% 가량 줄었고, 임상환자 모집에 실패할 확률도 80%에 달했다.

    이처럼 코로나19는 보건의료분야에 명확한 영향을 줬고, 전례없는 위기상황에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딜로이트 안진 황지만 파트너는 "이제 마케팅은 환자 중심 관점으로 바뀌게 됐으며, 빅데이터 공유는 더욱 적극적으로 가야 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 진단이 더욱 고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병원이라는 물리적 공간이 무의미해지고, 여러 반대로 무산된 원격의료 시행 논의도 시작될 것"이라며 "이제는 변화를 주도하고 유연성을 가져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인하대 경제학부 오준병 교수도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바이오산업 생태계 특성와 신종 전염병의 불확실성에 따라 전반적인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오 교수는 "우선 정부가 신종 감염병 위험 대비해서 의료동맹을 맺는 전략 추구해야 한다. 세계는 하나가 됐고 신종 감염병 변이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고립적으로 가는 것은 매우 비효율"이라며 "전세계 연구기관간 네트워킹 강화, 교육훈련 개방, 인적 교류와 국제적 펀딩 등을 시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바이오산업의 높은 진입장벽을 고려해 공적기금(공익적 펀드)을 마련해 규모의 경제를 확대해야 한다"면서 "이와 함께 데이터공사나 국가데이터청 등을 설립해 따로 관리되고 있는 의료, 산업, 과학기술의 빅데이터를 융복합 관리하는 거버넌스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의료계 내 M&A를 적극 활성화하고, 의료시스템과 의료체계에 대해 표준화하는 한편, 오픈이노베이션을 적극 추구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김흥열 센터장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시스템 혁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센터장은 "R&D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유럽 6개국에서 AI플랫폼으로 환자의 오가노이드 개발과 유전체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는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도 장비와 기술, 데이터를 통합·혁신하는 형태로 가야 한다. 하나의 신약을 만드는 게 아니라 여러 개의 신약을 만드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최근 디지털치료제를 의약품으로 허가심사한 사례를 근거로, 우리 정부 역시 빠른 과학기술 변화에 따라 규제 가이드라인, 과학 기반 등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업계 역시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위기이면서 동시에 기회인만큼 생존을 위한 전략을 제대로 짜야하며, 국가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윤호열 전무는 "이번 코로나로 3가지 큰 변화가 있었다. 의약품을 갑자기 200여종 개발해야 하는 긴급수요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원·부자재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됐다"면서 "이와 함께 기존에 임상을 진행하던 바이오기업들이 환자 모집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윤 전무는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신속 대응 역량을 갖춘 대형 CDMO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가속·편중화되고, 원·부자재의 영내 공급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라며 "규제기관의 실사와 고객 공유 등이 언택트(비대면)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시각적인 정보 제공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학·연의 요구에 대해 산업부 바이오융합산업과 김재준 과장은 "바이오분야 중에서도 이미 첨단과 성숙 등의 단계를 거친 분야는 정부에서 지원이나 간섭, 개입보다는 규제적 장애물 철폐, 제거하는 데 집중할 것이다. 반대로 기초공사부터 필요한 분야는 플레이어로 적극 개입,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바이오라는 산업군 특성에 기인한 것이며, 동시에 코로나 대유행에 따라 자원 배분에 있어 정부 주도적 역할이 확대된 데 따른 결정이다.

    김 과장은 "구체적으로 글로벌 선점 가능성 있는 품목들에 대해 최우선적으로 R&D 관련 지원을 시작하고,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은 국산화에 대한 지원을 하겠다"면서 "인력 양성을 위한 기반 마련과 빅데이터 집대화 등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대대적 투자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외에도 거래 비용을 낮추고 규제를 풀어 기업들이 편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활발하게 수익을 내면서 공공성을 창출해 생태계를 확대할 수 있도록 과감하고 다양한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