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정부가 사직 전공의 5월 추가 모집을 강행하며 마감이 임박했지만, 이미 전공의 10명 중 6명은 일반의로 재취업해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련병원에서 사직했거나 임용을 포기한 레지던트 8791명 중 5399명(61.4%)이 의료기관에 일반의로 취업한 상태였다.
이들은 전문의 자격을 따기 위해 과목별로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수련 과정을 밟았으나, 지난해 2월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수련병원을 떠났다.
사직 레지던트들의 병원별 재취업 현황을 보면 의원급 의료기관 재취업자가 3258명으로 60.3%를 차지했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레지던트 3258명 가운데 3분의 1인 1094명이 서울에서 재취업했다.
인천(226명)과 경기(901명)를 포함하면 수도권 소재 의원에 재취업한 레지던트는 전체의 68%를 차지한다.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레지던트는 117명으로 전체의 2.2%에 불과했다.
반면 의료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전공의는 3392명으로, 전체 사직자 중 38.6%에 해당한다.
한편, 전국 수련병원들은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추가 모집 원서 접수를 27일 전후로 마감하고, 이달 말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추가 모집을 통해 복귀하는 전공의는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이후 3개월간의 추가 수련을 거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