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효과적인 C형간염 관리를 위해 하루라도 빠르게 국가 생애전환기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2017년 C형간염 국가검진 도입 시범사업 결과를 발표하고도 아무런 후속 조치가 없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가 만성 C형간염 치료제 하보니(Harvoni, 성분명 레디파스비르, 소포스부비르) 급여확대 및 소발디(Sovaldi, 성분명 소포스부비르) 기반요법의 약가인하를 앞두고 29일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최문석 교수는 '국내 C형간염 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 주제발표에서 "C형간염이 간암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것을 국가에서 알고 있으면서 정작 C형간염 자체를 검사할 수 있는 기회는 국민에게 제공하지 않고 있어 모순됐다"면서 C형간염의 국가검진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C형간염 환자는 약 30만 명 정도로 추산만 하고 있다. 2016년 심평원 자료를 보면 실질적으로 진료받는 사람은 5만 명이 채 안된다"며 "빨리 C형간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치료하고 전파경로를 차단해야하는데 대부분 증상이 없고 진료 사각지대에 있는데다, 집단감염과 같은 이슈가 있을 때에만 C형간염에 반짝 관심을 쏠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C형간염 항체 양성률은 인구집단에 따라 다르지만 2012~2014년 평균 0.7%이고, 통계에 잡히지 않는 사람까지 합하면 1% 정도로 보고 있다.
문제는 성인 전체로 보면 낮지만 고령으로 갈수록 높아 60세 이상에서는 1.5~2%가 되고, 일부 지역에는 2%로 유병률이 높다.
실제로 2017년 C형간염검사 시범사업 결과 전체 양성 판정률은 1.6% 였지만 고유병 의심지역은 평균 1.7%, 일부 지역은 5.9%까지 올라갔고, 의료 급여 환자이면서 만 66세인 인구집단에서는 4.3%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 교수는 "이 내용이 발표되고 난 뒤 정부에서는 그 다음에 대한 이야기가 없다"고 비판했다.
C형간염 국가검진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국거검진항목 선정 기준 가운데 유병률 5%, 사망률 10/10만명이다.
최 교수는 "국가암검진에서는 40세 이상이고 B형이나 C형간염이 있으면 초음파와 혈청 검사를 1년에 2번씩 해주는데 건강보험에서 비용을 90% 지불한다"면서 "국가는 C형간염이 암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으면서 몇천~몇만원 수준에 평생 1회만 하면 되는 C형간염 선별검사는 왜 안해주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결핵의 경우 X선상 유병률이 2.2%였음에도 과거 국가에서 결핵퇴치사업을 벌였는데 C형간염은 언제까지 국가검진항목 선정기준에 매달린건가"라고 의문을 제기하며 "선정기준은 근거가 없고, 국민 건강보건에 미칠 영향이 크다면 좀 더 타깃을 잘 잡아서 해보는게 좋을 것이다"고 말했다.
여러 연구에서 40~60대 대상으로 1회 C형간염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건강보험 기준에 합당한 직접작용제(DAA) 치료를 하는 것이 선별검사를 하지 않는 것보다 비용 효과적이라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숙향 교수팀이 발표한 국내 연구 결과에서는 40~65세를 대상 국가검진에서 C형간염 항체검사를 포함하면 인구 10만명 당 C형간염에 의한 사망을 32명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C형간염 관리대책으로 정책적으로는 국가 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를 도입, 의료기관 관리 측면에서는 소모품과 위생재료, 잔여 주사제 폐기 등에 대한 수가 인정 등을 강조하며 C형간염 치료 장벽을 낮출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