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중앙보훈병원 의사들이 보훈의료 체계를 정상화를 위해 의료 현장 경험이 있는 의료 경영인을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이사장으로 임명해달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의료진이 재차 대규모 이탈할 조짐이 보인다며 보훈병원의 보훈병원의 의사 부족과 정년 문제에 대한 해결도 요구했다.
중앙보훈병원 전문의협의회는 6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보훈처가 보훈부로 승격한 후에도 보훈의료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협의회는 “윤석열 정부 들어 보훈과 아무 상관도 없는 검사 출신 보훈처장을 검사 출신으로 임명할 때까지만 해도 병원 의사회는 반발하지 않고 관망하기로 했다”며 “유공자 환자를 책임지고 있는 전체 보훈병원 의료진들의 가속 이탈 사태를 검사 출신 새 보훈처장이 와서 보훈부로 승격시키고 나면 이런 제반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그러나 보훈부 승격 이후에도 보훈병원은 어느 것 하나 달라진 게 없다”며 “전문의 이탈 현상을 그나마 진정시킨 성과급 인상도 그나마 이전 보훈처장, 공단 이사장의 노력으로 성사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보훈부는 보훈의료에 여전히 무관심 일변도고 새로 부임한다는 보훈장관도 유공자 자녀라는 이유로 물망에 올랐다고 한다”며 “과연 국가 보훈사업의 중추인 보훈병원 문제 해결에 관심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시설 노후와와 환자 수 중심 성과 강요에 사직 고려 전문의들 재차 늘어
이에 협의회는 우선 보훈공단 이사장을 의료현장을 체험한 의료경영인으로 임명해달라고 요구했다.
협의회는 “보훈병원은 전국 6개의 대규모 병원을 보유하고 있는 대규모 공공병원이지만 이를 실제로 관리하고 운영, 감독할 주체인 보훈공단의 역량은 매년 공단 평가가 D, E 등급을 벗어나지 못할 정도로 형편없이 낮은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중앙보훈병원 의사회는 6개 병원을 관리 감독할 권한과 주체를 의료원 체제로 전환해 각 병원의 진료 역량을 현장에서 의료전문 경영인이 직접 감독, 관리하고 상향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정부는 귀를 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환자 진료에 꼭 필요한 진료 인력, 시설, 설비들이 노후화되고 있음에도 공단은 진료, 입원 환자 숫자만 늘리는 성과를 강요하고, 숫자에 근거한 성과를 독촉하는 현실”이라며 “이로 인해 중앙보훈병원만 해도 연말 연초에 사직을 고려하는 전문의들이 다시 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당장 보훈공단 체제를 없애고, 중앙의료원 체제로 전환하는 게 어렵다면 최소한 각 병원의 의료원장들이 어떤 의견을 내는지 들을 수 있는 식견을 갖고, 유공자 진료를 알며, 현장을 경험한 의료 경영인을 공단 이사장으로 임명해주길 강력히 요구한다”며 “이전처럼 구태의연한 보훈 관료 출신이나 예방의료 같은 이론적 전문가보다 진료를 경험한 의료 경영인을 이사장으로 영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중앙의료원처럼 전문의 정년 65세로 연장해야
협의회는 국립중앙의료원처럼 전문의 정년을 65세로 연장해줄 것도 요구했다. 보훈병원 의사직은 지난 2020년부터 꾸준히 정원 미달 상태다. 2020년 4.3%였던 미달률은 2022년 10.7%까지 치솟았고, 지난 7월 말 기준으로도 6.5%로 높은 상태다.
협의회는 “신규 전문의들의 이직율이 높아서 정년 연장한 의사들을 재고용하거나 1~2년씩 한시적으로 임기 연장을 하며 부족한 인력을 메우고 있는 실정”이라며 “반면 국립중앙의료원은 새 원장이 취임하자마자 전격적으로 65세 정년 연장을 해결했다”고 했다.
이어 “보훈처에서 보훈부로 승격한 힘 있는 상위기관을 둔 보훈병원은 왜 아직도 전문의 정년 65세 문제 하나를 해결 못하고 있는가”라며 “과연 보훈부는 고령 유공자 환자들에게 필요한 보훈의료 문제 해결에 관심이 있긴 한 것인가”라고 했다.
협의회는 끝으로 “보훈부는 보훈병원 전문의 수급 문제, 정년 문제 해결로 보훈부의 위상을 보여줘야 한다”라며 “그로 인해 고령에 접어든 유공자들이 더 나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그게 바로 보훈부 승격의 의미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