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유행대비 긴급점검
①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2.5%뿐, 11월 집단면역 사실상 불가능
②미국 5월까지 모든 성인 코로나19 백신 접종·영국 7월까지 1차접종 완료 목표
③코로나19 장기화, 국민 불안 작년대비 8.3%↑…백신 부작용 발표 신뢰 27% 불과
①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2.5%뿐, 11월 집단면역 사실상 불가능
②미국 5월까지 모든 성인 코로나19 백신 접종·영국 7월까지 1차접종 완료 목표
③코로나19 장기화, 국민 불안 작년대비 8.3%↑…백신 부작용 발표 신뢰 27% 불과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국민들의 정신건강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극도의 불안과 공포에 대한 경험도 만연해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낙인을 인식한 경험이 78%나 됐고 백신 부작용 인과성에 대한 정부 발표를 신뢰하는 국민은 27.6%에 불과했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4월 1일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국민들의 정신건강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20세 이상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과 우울감은 2020년 47.5%에서 2021년 55.8%로 8.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60.0%)이 남성(51.7%)보다 우울하다고 느끼는 응답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이한 점은 성별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스트레스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는 여자가 64.9%로 남자 58.5%보다 약 6.8%p높은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스트레스는 남자가 63.1%로 여자 59.3%보다 약 3.7%p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 지장 수준은 지난해(5점만점에 4.1점)에 비해 올해 3.8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수면의 질이 나빠졌다고 응답한 비중은 지난해 20.2%에서 올해 30.6%로 10.4%p 증가했다.
코로나19 장기화 시대에 우리나라 국민의 우울증 위험군과 불안장애 위험군도 10%를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분석 결과 응답자의 17.7%가 우울증 위험군으로 선별됐고 GAD-7(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분석 결과 응답자의 12.7%가 불안장애 위험군으로 조사됐다.
특히 국민 대다수가 우리 사회에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비난, 마녀사냥 등 사회적 낙인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주요 요인으로 사회구성원과 언론의 분위기 조성이 꼽혔다.
응답자의 78.1%가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다소’, ‘매우 심하게’ 있다고 응답했다. 사회적 낙인의 책임은 ‘사회 구성원들’ 46.5%, ‘언론의 분위기 조성’ 45.3%, ‘정부의 분위기 조성’ 20.5% 순이었다.
불안과 우울감이 증가하면서 백신접종에 대한 불신도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순서가 되면 바로 백신접종을 하겠다는 응답이 48.0%인데 반해 백신의 안정성이 신뢰될 때까지 접종을 미루거나 백신 접종을 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52.0%였다.
백신의 안전성과 관련해 부작용으로 인해 불안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65.6%로, 안전하다는 응답 34.5%와 약 2배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또한 코로나19 백신의 부작용과 사망자 발생에 대해, “백신과 인과관계가 없다”는 정부의 발표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37.7%로 신뢰한다는 응답 27.6%보다 10.1%p 높았다.
연구진은 "응답자 대다수인 73%가 코로나19로 인한 정신건강 서비스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 이는 2020년 49.6% 보다 크게 증가한 수치"라며 "반면 국민 대다수인 72.1%는 정신건강 서비스의 이용 경험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연구진은 "향후 정부는 추진중인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심리방역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 코로나19 정신건강 서비스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며 "수도권 집중적 심리방역과 함께 지역사회 소규모 심리방역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비대면 디지털 심리백신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1차, 2차 예방적 관점의 프로그램들을 보다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국민들에게 전달하는 전략이 요구된다"며 "대상자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심리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