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올해 가을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COVID-19) 2차 유행이 예고되면서, 의료서비스 안전성과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전화 진료와 처방이 계속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차의학전문대학원 전병율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8일 'COVID-19 2차 유행에 대비한 의료시스템 재정비'를 주제로 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한국과학기술한림원·대한민국의학한림원 공동 온라인포럼에서 이 같은 의료서비스 제공체계를 개선안을 제시했다.
전 교수는 "코로나19가 단기에 종식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무증상 환자의 감염전파 가능성이 있다"면서 "코로나 외에도 신종 감염병이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다"고 운을 뗐다.
또한 "의료기관에서 모든 환자가 코로나19와 비슷한 증상에 감염돼 전파력이 있다"면서 "환자-의료진 간 사회적 거리 유지, 동시간대 방문환자 수 관리(시간적 거리두기), 주기적 환기, 진료 전후 소독, 방호구 착용 등이 일상화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순수한 진찰 뿐 아니라 진료 전후 감염관리를 위한 의료기관과 의료인의 시간과 자원 투입, 업무 강도·위험도 증가 등으로 이어진다고 부연했다.
전 교수는 따라서 "감염병 상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진료문화를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해 진찰료 현실화와 감염관리 비용 보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새로운 진료문화 도입 일환으로 '비대면 진료제도'가 계속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 교수는 "의료기관 감염 확산 방지와 안전한 의료 이용을 위해서는 전화상담, 전화처방, 대리처방 등 비대면 진료를 지속해야 한다"면서 "중장기적 발전을 위해 정부와 의료계가 심도 있는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비대면진료를 활성화하려면 보건당국의 법적, 제도적, 재정적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며 "근본 방안을 강구해 의료기관 자율적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감염병 상시 대응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진단검사 시행과 지역별 민-관 협력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과 발열-호흡기 전담 진료소(병원) 지정도 피할 수 없는 과제임을 제시했다.
전 교수는 "환자 추적과 격리 등으로 인한 병원 내 감염 최소화하기 위해 신규 입원환자와 수술환자, 면역력이 약한 투석환자, 요양병원 입원환자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진단검사를 이어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검사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앙정부는 정부와 의사협회, 병원협회가, 지방에서는 지자체와 지역의사회가 유기적으로 협력, 대응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 시스템을 상시화해야 한다"면서 "특히 필요시 민간 의료인과 의료기관이 즉시 감염병 대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충분한 보상 및 지원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전 교수는 "감염병 대응은 음압병상 등 투자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민간 의료기관에서 관련 시설을 유지,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코로나 재유행과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공공병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공공의료시설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빠르게 다른 원인을 감별할 수 있도록 응급의료기관 수준의 인력과 시설을 갖춘 전담 진료소 도입이 시급하다"면서 "감염병 환자와 의심환자 등을 전담해 수용할 수 있는 기반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